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차기 대선 경쟁

돌고돌아 결국 단일화 대선···피로감 가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경향신문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24일 오후 서울 강남구 도산공원 도산안창호기념관을 찾아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를 가운데 둔 여야의 후보 단일화 경쟁이 대선 정국을 잠식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선두 다툼이 초박빙 양상으로 접어들면서다. 두 후보가 정책면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는 데다, 비호감도 경쟁은 ‘역대급’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막판 단일화 경쟁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윤호중 민주당 원내대표는 25일 YTN라디오 인터뷰에서 전날 송영길 대표가 정치개혁 연대를 제안한 데 대해 “우리당의 중요한 가치 중 하나”라며 대선 결과와 관계없이 정치개혁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선을 위해 정치개혁안을 급조한 것 아니냐는 비판에 선을 그은 셈이다. 그러나 당장 민주당 안에서도 안 후보와의 연대가 선거 승리를 위한 마지막 카드라는 이야기가 공공연하게 나온다. 정치교체를 명분으로 느슨하게나마 안 후보와 손잡는 데 성공한다면 윤·안 단일화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여기에 심상정 정의당 후보와 김동연 새로운물결 후보까지 끌어들인다면 윤 후보를 고립시키는 그림까지 만들 수 있다. 민주당 선대위 한 관계자는 통화에서 “이재명·안철수 단일화는 현실적으로 어렵겠지만, 두 사람이 정치교체 구상에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4자 구도로 선거를 치르는 방안도 나쁘지 않다”고 말했다.

민주당의 이 같은 행보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도 작지 않다. 2020년 총선을 앞두고 국민의힘(당시 미래통합당)과 경쟁하듯 위성정당을 띄우며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유명무실하게 만들었던 민주당이 대선을 앞두고 또다시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꺼내든 것 자체가 촌극에 가깝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후보가 이념지형에서 가장 거리가 먼 조원진 우리공화당 후보에게까지 손을 내민 것을 두고도 뒷말이 나온다.

그간 후보 단일화를 두고 다소 여유있는 표정을 보이던 국민의힘도 사정이 달라졌다. 안 후보를 향한 민주당의 적극적인 애정공세가 이어지고 있다. 일부 오차범위 밖으로까지 벌어졌던 지지율 격차는 최근 오차범위 내 초접전으로 변했다.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둘러싼 여야 공방에서 자영업자층의 이탈이 두드러졌고, 안 후보의 단일화 결렬 선언 이후 이어진 갈등 상황도 악영향이 컸다는 내부 분석이 나온다. 이 때문에 국민의힘 측에선 내부 입단속을 시키는 등 막판 단일화 합의에 대한 기대를 놓지 않고 있다.

대선이 12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단일화 성사 가능성은 여전히 미지수다. 윤 후보는 지난 20일 안 후보의 단일화 결렬 선언 이후 아직까지 뚜렷한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안 후보는 단일화 결렬 선언 이후 ‘마이웨이’를 강조하고 있지만, 역시 특유의 화법으로 여지를 남기고 있다는 평가다. 최근까지 국민의당과 충돌하며 내부 ‘주의령’을 받았던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KBS라디오 인터뷰에서도 “안 대표가 출마를 포기한다든지 하면 적절한 예우를 하겠다는게 공식적인 저희 입장”이라며 재차 안 후보 측을 압박했다. 선거 막판까지 단일화 이슈가 신경전 속에 안갯속을 맴돌면서 유권자 피로감만 가중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윤 후보가 안 후보를 찾아가 직접 설득하는 것 외에 남은 대안이 없다는 관측이 국민의힘 안팎에서 이어지는 가운데, 26일 윤·안 회동 시나리오가 가능성을 키우고 있다. 윤 후보는 이날 인천에서 시작해 서울로 이어지는 유세 일정을 예고했다. 안 후보도 이날 오전 방송 녹화에 이어 오후에는 서울 종로 광장시장과 강남역 유세 등 서울에 머무를 계획이다.

심진용·곽희양 기자 sim@kyunghyang.com

▶ [뉴스레터]좋은 식습관을 만드는 맛있는 정보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