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 사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 15일 대구 동성로에서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른쪽 사진)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지난 16일 광주광역시 송정매일시장에서 인사하고 있다. 사진 공동취재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거대 양당이 부쩍 ‘통합의 정치’를 불러내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모두 통합 대통령이 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하지만 선거 과정은 통합과 거리가 있다. 전통적 약세 지역에서 상대 당을 겨냥한 역(逆) 지역감정을 부추기고 강세 지역에선 지역감정에 호소하는 행태가 나타났다. 통합을 말하면서도 분노와 배제의 공포를 들춰내는 분열의 정치를 계속하는 모습이다.
대선을 20일 앞둔 17일 거대 양당 후보들은 거듭 ‘국민통합’을 입에 올렸다. 이 후보는 서울 광화문 유세에서 “분열과 갈등의 정치가 아니라 화합과 통합의 정치를 이재명이 해내겠다”면서 “박정희 정책이든 김대중 정책이든, 왼쪽 오른쪽, 보수 진보 가릴 것 없이 국민에게 필요한 정책과 유능한 인재를 다 쓰는 통합의 정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후보는 경기 성남시 유세에서 “모두가 열심히 일하고, 일한 만큼 보상 받고 대우 받는 그게 국민통합”이라고 말했다. 그는 전날 광주광역시 유세에선 “정치인들이 만든 편한 지역구도를 깨야할 때가 왔다”면서 “저 윤석열이 지역주의를 깨고 국민화합과 통합을 이루겠다”고 했다.
갈등과 분열을 넘겠다고 했지만 대선 후보와 당내 인사들의 발언은 해당 지역의 분노를 자극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국민의힘은 윤 후보가 직접 나서 지역감정을 역으로 이용하는 발언을 내놨다. 윤 후보는 전날 전북 전주 유세에서 “(민주당이) 선거 때만 되면 이거저거 준다 해놓고 수십년 간 달라진 게 있나”라면서 “과거에는 여기는 누워서 (선거운동) 하는 데로 생각했던 모양이다. 확실하게 본때를 보여달라”고 말했다. 같은 날 광주 유세에선 “수십 년에 걸친 지옥의 민주당 독점정치가 광주와 전남을 발전시켰나”라고 했다. 미래 비전과 갈등 극복의 필요성을 두고 비교우위를 강조하기보다 적대적 감정을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옮기는 데 치중한 발언들이다.
공식 선거운동 개시일인 지난 15일 역시 전통적 약세지역인 대구를 찾은 민주당 인사들도 지역주민들의 감정을 자극하는 발언을 내놨다. 유세에 나선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은 윤 후보의 신천지 압수수색 거부 의혹을 거듭 제기하면서 “신천지 성도는 무섭고 우리 대구시민과 경북도민의 생명은 보살피지 않아도 된단 말이냐”고 말했다.
전통적 강세 지역에선 여전히 고착화한 지역감정을 부추기는 행위도 나타나고 있다. 약세 지역에선 통합과 지역구도 타파를 주장하며 표심 이동을 노리지만 집토끼 지역으로 불리는 강세 지역에선 지역 독점구도를 깨자는 이야기는 하지 않았다.
이 후보는 지난달 27일 광주광역시 충장로 거리 연설에서 “(공장에 취직했더니) 관리자는 경상도 사람인데 말단 노동자는 다 전라도 사람이었다”면서 “박정희 정권이 자기 통치 구도를 안전하게 만든다고 경상도에 집중 투자하고 전라도는 일부 소외시켜 싸움시킨 결과라는 걸 나중에 알았다”고 말했다. 지난 15일 대구 유세에 나선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은 “(대구·경북이) 박근혜 전 대통령을 80% 지지했다. TK(대구·경북)에서 윤 후보를 꼭 80% 이상 지지해주길 부탁한다”고 했다. 최근 민주당에 복당한 천정배·최경환 전 의원 등 광주 지역 정치인들은 전날 기자회견을 열고 “윤 후보가 집권하면 민주주의가 퇴행하고 호남에 대한 차별과 소외마저 깊어질 우려가 있다”고 했다.
앞서 이 후보는 “더 이상 진영과 지역을 놓고 싸우지 않고 온 마음을 하나로 뭉치는”(지난 15일 대구) 정치를 말했다. 윤 후보는 “이번 대선은 지역정치가 계속 연장되느냐 여기서 끊고 국민통합의 정치로 나아가느냐를 결정하는 중차대한 선거”(지난 16일 전주)라고 했다.
유정인·박홍두 기자 jeongin@kyunghyang.com
▶ [뉴스레터]좋은 식습관을 만드는 맛있는 정보
▶ [뉴스레터]교양 레터 ‘인스피아’로 영감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