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6 (일)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5·18 최후진압 때 숨진 26명 사망경위 파악…여중생도 '무차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진상규명조사위 발간 '2021년 하반기 조사활동보고서'에서 드러나

연합뉴스

5월 18일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 (PG)
[홍소영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광주=연합뉴스) 천정인 기자 = 5·18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의 최후 진압작전 과정에서 숨진 26명에 대한 구체적인 사망 경위가 파악됐다.

16일 5·18 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발간한 '2021년 하반기 조사활동보고서'에 따르면 1980년 5월 27일 최후 진압작전 과정에서 모두 26명의 민간인이 숨졌다.

특히 최후 항전을 벌이던 전남도청 일대에서 계엄군의 총격을 받아 사망한 사람은 모두 21명으로 조사됐다.

전남도청 일대가 아닌 계림동 광주고등학교에서 2명, 월산동 무진중학교 인근에서 1명, 전남대 정문과 후문 인근에서 2명이 숨졌다.

이들 대부분은 진압 작전 과정에서 총격을 당해 사망했지만, 무고한 시민들도 일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당일 전남대 인근에서 사망한 2명은 육군 31사단 경계근무 지역에서 수하 불응으로 총격을 받고 희생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위는 "이 가운데 1명은 수하 불응이라는 이유로 총격을 받기엔 아직 사리 분별이 분명하지 않은 어린 나이의 소녀였다"고 설명했다.

나머지 1명도 수습 당시 기록을 보면 계엄군에 저항할 의사가 없는 상태에서 목숨을 빼앗긴 것으로 드러났다.

광주고등학교에서 수습된 희생자 1명은 당초 사망 경위가 밝혀지지 않았지만, 위원회 조사를 통해 계엄군의 집단 폭행 및 가혹행위로 숨진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위는 이러한 내용을 포함해 최초·집단발포 책임자 규명, 행방불명자 소재 파악 등 지난해 말까지 21개의 직권 사건을 조사 중이다.

특히 옛 광주교도소 무연고 묘지에서 발견된 282기의 신원미상 유골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부터 이관받아 행방불명자 196명의 가족, 376명의 유전자와 비교할 예정이다.

조사위는 또 옛 광주교도소 인근 암매장 예상 구역을 선정해 발굴 조사를 했지만, 흔적을 발견하지 못했다.

이에 조사위는 5월 항쟁 이후 사체 처리반이 운영됐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iny@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