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1 (금)

정부 "거리두기 18일 발표 예정…방역패스 유지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증·사망 최소화 비용 대비 효과 따졌을 때

방역패스가 거리두기보다 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기하영 기자]정부가 오는 18일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한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를 완화하려는 분위기가 읽히지만 방역패스는 좀 더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는 입장이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15일 정례브리핑에서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해 오는 18일 조정안을 발표하는 것을 목표로 "일상회복지원위원회 위원들을 포함한 각계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미크론 변이 우세화로 인한 유행 특성의 변동에 따라 사회·경제적 피해를 어느 정도까지 감수할 것인지도 함께 결정해야 하므로 다양한 의견을 듣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김부겸 국무총리는 전날 KBS 긴급진단에 출연해 거리두기와 관련해 "이번 주 안으로 결론을 내려 한다"며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숨통을 트면서도 오미크론 확산 과정에 기름을 붓는 꼴이 안되는 방안 사이에서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방역패스와 관련해서 손 반장은 "중증·사망을 최소화하려는 정책적 목표 달성을 위한 비용 효과성을 고려할 때, 방역패스는 거리두기보다 좀 더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방역패스는 미접종자들의 감염과 이들로 인한 전파를 예방하는 데 초점을 둔다"며 "방역패스를 적용받는 18세 이상의 접종 완료율은 현재 약 96%인데, 방역패스로 불편을 겪게 되시는 분들은 성인의 4% 정도인 미접종자"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8주간 위중증 환자의 62%, 사망자의 66.5%가 미접종자였다"며 "미접종자들의 감염과 이들로 인한 전파를 차단하는 게 현재 중증·사망 피해를 최소화하는 중요한 목표 지점이 되고 있고, 4%의 미접종자들을 어떻게 보호할 것인지가 계속 주요한 쟁점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손 반장은 "전체적인 방역체계 개편과 현재 유행 상황 양상을 보면서, 일부 부분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계속 검토해 나갈 예정"이라고 여지를 남겼다.

기하영 기자 hyki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