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우크라 침공 임박설'···러 "서방 국가들과 언론의 음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동맹국들에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격예상 시점을 오는 16일로 제시했다는 외신 보도가 나오는 등 '침공 임박설'이 제기된 가운데 러시아가 "서방 국가들의 허위정보 공세"라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미 CNN방송 등에 따르면 러시아 외무부는 11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우크라이나 침공설이 "서방국가 당국과 언론의 음모"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러시아 외무부는 "서방 당국과 언론이 자신들의 침략적인 행위에 대한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려는 목적으로 지정학적 이익과 관련한 허위정보를 대규모로, 조직적으로 유포해 인위적 긴장을 키우고 있다"고도 했다.

아울러 러시아 외무부는 "2021년 말과 2022년 초에 세계 정보 공간은 규모와 정교함에 있어 전례 없는 언론 캠페인에 직면했다"면서 "그 목적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영토 침공을 준비 중이라는 점을 국제사회에 납득시키려는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설리번 보좌관은 우크라이나에 있는 미국인들에게도 늦어도 48시간 이내에 대피할 것을 거듭 촉구했다.

AP통신은 우크라이나 주재 미국 대사관이 침공 우려 때문에 주변국 폴란드로 대피할 계획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전날 방영된 NBC와의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 내에 있는 미국인들에게 당장 떠나야 한다고 권고했다.

러시아는 침공 의도를 거듭 부인하고 있지만 우크라이나 접경지를 둘러싸고 병력을 늘리며 압박을 강화하고 있는 상태다. 전날 공개된 위성사진에는 러시아가 최근 우크라이나 동쪽, 남쪽, 북쪽 접경지역 등에 러시아 군 병력을 추가 배치한 것이 포착되기도 했다.

이같은 러시아의 움직임에 맞서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브(러시아명 키예프)는 만약의 상황을 대비해 대응책 준비를 강화하고 있다.

비탈리 클리치코 키이브 시장은 전날 낸 성명을 통해 비상사태가 발생할 때 기간시설을 보호하는 데 초점을 맞춘 조치를 발표했다.

해당 조치에는 추가 전력 생산과 최대 열흘치 연료 비축분을 만드는 방안 등이 포함됐다.

김경훈 기자 styxx@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