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경찰, '디스커버리' 장하원 대표 이틀 만에 재소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스커버리 펀드 환매 중단'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이 오늘(11일) 장하원 디스커버리자산운용 (디스커버리) 대표를 소환해 조사하고 있습니다.

그제 피의자 신분으로 한차례 불러 조사한 지 이틀 만입니다.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오늘 오전 장 대표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와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불러 조사하고 있습니다.

장 대표는 펀드에 부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알고서도 이를 숨긴 채 판매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경찰은 장 대표가 펀드 판매 수익이 없는 상황에서 신규 투자자가 낸 투자금을 기존 투자자에게 수익금으로 지급하는 '폰지 사기' 수법을 벌였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디스커버리 펀드는 2017∼2019년 4월 사이 IBK기업은행과 하나은행 등 시중은행과 증권사를 통해 판매됐습니다.

이후 운용사의 불완전 판매와 부실 운용 등 문제로 환매가 중단돼 개인·법인 투자자들이 피해를 봤습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4월 말 기준 환매 중단으로 은행 등이 상환하지 못한 잔액은 모두 2천562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경찰은 지난해 판매사인 기업은행과 하나은행 등을 압수수색했고, 디스커버리 사무실 압수수색 과정에서 투자자 명단과 투자액 등이 적힌 파일을 확보했습니다.

이 파일에는 장 대표의 형인 장하성 중국대사 부부와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이 각 청와대 정책실장과 공정거래위원장으로 재직할 당시인 2017년 7월 디스커버리 펀드에 거액을 투자했다는 내용이 포함돼 '특혜 의혹'도 제기된 상태입니다.

이에 장 대사는 입장문에서 "부실 사고가 발생한 펀드 투자와 관련해, 사고 이후 일체의 환매를 신청한 사실이 없고, 따라서 환매금을 받은 사실도 없었다"고 일축했습니다.

김 전 실장도 환매를 신청한 사실이 없고, 환매금을 받은 적도 없다며 의혹을 부인했습니다.
소환욱 기자(cowboy@sbs.co.kr)

▶ 베이징 2022 올림픽, 다시 뜨겁게!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