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지구를 보다] ‘바닷속 밀림’ 청정 원시 산호초 발견…장미 형상 진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22일(현지시간) CNN은 최소한의 빛만 닿는 ‘약광층’ 경계에 청정 산호초가 있었다고 보도했다. 사람 손이 닿지 않은 저 깊은 바다는 무한한 우주의 심연만큼이나 신비롭다고 설명했다./사진 @Alexis.Rosenfeld/Lacaz’a Production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유네스코 지원을 받아 해양환경을 연구하는 프랑스 수중사진가 알렉시스 로젠펠드는 지난해 11월 타히티 바다에서 우연히 거대 산호초를 발견했다. 수심 30~65m 사이에 자리한 산호초는 길이가 3㎞, 너비 30~65m에 이르렀다. 장미꽃 형상의 산호 군락이 인상적이었는데, 그중 가장 큰 산호는 지름이 2m에 달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남태평양 타히티 해역에서 원시 그대로의 산호초가 발견됐다. 22일(현지시간) CNN은 최소한의 빛만 닿는 ‘약광층’ 경계에 청정 산호초가 있었다고 보도했다. 사람 손이 닿지 않은 저 깊은 바다는 무한한 우주의 심연만큼이나 신비롭다고 설명했다.

유네스코 지원을 받아 해양환경을 연구하는 프랑스 수중사진가 알렉시스 로젠펠드는 지난해 11월 타히티 바다에서 우연히 거대 산호초를 발견했다. 수심 30~65m 사이에 자리한 산호초는 길이가 3㎞, 너비 30~65m에 이르렀다. 장미꽃 형상의 산호 군락이 인상적이었는데, 그중 가장 큰 산호는 지름이 2m에 달했다.
서울신문

사진 @Alexis.Rosenfeld/Lacaz’a Production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사진 @Alexis.Rosenfeld/Lacaz’a Production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사진 @Alexis.Rosenfeld/Lacaz’a Productions


로젠펠드 작가는 “길게 뻗어있는 거대하고 아름다운 장미 산호를 보고 마술인 줄 알았다. 예술 작품 같았다”고 극찬했다. 산호초 발견 이후 조사팀은 약 200시간 동안 잠수하며 산호초를 조사했다. 앞으로도 몇 달간 바다에 들어가 연구를 계속할 계획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산호초는 모두 수심 25m 지점에 자리하고 있다. 그보다 더 깊은 바다에서 산호초가 발견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유네스코는 “이례적 발견이다. ‘약광층’(弱光層)에 더 많은 산호초가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평가했다. 수심 200~1000m 약광층은 햇빛이 도달하는 마지막 경계 지점이다.
서울신문

사진 @Alexis.Rosenfeld/Lacaz’a Production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사진 @Alexis.Rosenfeld/Lacaz’a Production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에 발견된 원시 산호초가 수온 상승으로 인한 표백 현상에서 자유로운 건 약광층 초입이라는 입지적 이점 덕분이다. 산호초는 빛을 너무 많이 쬐면 스트레스 반응으로 ‘백화 현상’이 나타나고 고유의 색을 잃는다. 하지만 깊은 바다에 있는 산호초는 최소한의 빛을 통해 성장과 번식을 하면서도, 깊은 수심 덕에 수온 영향은 적게 받는다. 산호초가 원시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할 수 있었던 이유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CNRS) 레티시아 헤두인 박사는 “약광층 경계에서 발견된 산호초는 수온 상승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렇게 깨끗한 산호초 발견은 미래 해양환경 보존 및 보호에 영감을 줄 것이다”라고 밝혔다.
서울신문

서울신문

사진 @Alexis.Rosenfeld/Lacaz’a Production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산호초는 해양 생태계의 주요 식량원이자 안식처다. 전체 바다에서 산호초가 차지하는 면적은 0.2%에 불과하지만, 전체 해양 생물의 25%가 산호초에 서식한다. 산호초는 지구 환경 정화에도 기여한다. 산호초와 공생하는 편모조류는 광합성을 위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공급한다. 사실상 ‘바닷속의 밀림’이다. 또 해안 침식과 쓰나미, 태풍으로부터 연안을 보호하는 방파제 역할도 한다.

하지만 지구 온난화로 수온이 상승하면서 최근 10년 사이 전 세계 산호초 14%가 백화 현상으로 사라졌다. 세계산호초감시네트워크가 유엔 환경기금 지원을 받아 73개국 1만 2000개 지역의 산호초를 조사한 결과, 2009년부터 2018년까지 1만 1,700㎢의 산호초가 사라졌다. 서울시 면적(605㎢)의 약 20배가 파괴된 셈이다.

유네스코에 따르면 현재 해저 지도는 약 20% 정도밖에 완성되지 않았다. 앞으로 발견될 것이 훨씬 더 많다는 의미다. 전문가들은 깊은 바다에 우리가 아직 발견하지 못한 산호초가 해양 생태계 붕괴 저지의 실마리가 되길 기대하고 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