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백제 몽촌토성서 고구려 목간 출토… 국내 최고 가능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목간(木簡·글을 적은 나뭇조각)이 서울 송파구 몽촌토성에서 발견됐다. 551년 이전 고구려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성백제박물관은 몽촌토성 북문터 발굴조사를 통해 물을 저장하는 공간인 집수지 안에서 먹물로 쓴 글자가 있는 고구려 목간 한 점(사진)을 찾아냈다고 18일 밝혔다.

지난해 4월 출토된 목간은 길이 15.6㎝, 너비 2.5∼2.7㎝, 최대 두께 0.4㎝다. 글자는 한쪽 면에서 10∼13자가 확인됐다. 큰 글자 6∼8자를 한 줄로 적고, 오른쪽 하단에 작은 글자 4∼5자를 기록했다.

조사단은 목간 연구자들을 초청해 두 차례 회의를 열고 적외선 촬영도 했으나 글자를 정확히 판독하지 못했다고 전했다. 박물관은 집수지가 고구려 유적이고 주변에서 고구려 토기가 나왔다는 점을 근거로 목간이 고구려 유물이라고 판단했다. 연대 분석 결과 목간은 469∼541년 유물로 파악됐다.

박물관 관계자는 “백제는 고구려 침략으로 475년에 수도를 오늘날 공주인 웅진으로 옮겼고, 고구려는 백제 성왕이 551년 한강 유역을 되찾기 전까지 몽촌토성을 점유했다”며 “목간이 551년 이전에 만들어졌다면 삼국시대를 통틀어 국내 최고(最古) 목간일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나온 삼국시대 목간은 대부분 6∼7세기 신라와 백제 유물이다. 이 관계자는 “몽촌토성에서 목간이 출토된 첫 사례지만, 집수지 유적 발굴조사가 아직 40% 정도만 진행돼 추가로 목간을 발견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박물관은 이번 조사를 통해 고구려 세력이 몽촌토성을 운영하고 다스렸다는 사실이 더욱 뚜렷해졌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몽촌토성은 고구려의 흔적이 별로 없는 풍납토성과 달리 고구려가 토목공사를 행한 양상이 잘 남았다”며 “북문터 조사 현장에서도 백제가 떠난 뒤 고구려가 수리하거나 새롭게 조성한 도로·건물터 유적과 토기·화살촉 등 전형적인 고구려 유물이 나왔다”고 말했다. 목간 조사 내용은 오는 21일 한국목간학회가 여는 학술회의에서 공개된다.

심현희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