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자 정점 찍고 안정됐지만 사망자 높게 유지돼
일반화 한계 분명…섣부른 결론은 경계해야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코로나19 접종소에서 2021년 12월 4일 한 여성이 아이를 업은 채 백신을 맞고 있다. © 로이터=뉴스1 © News1 최서윤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최서윤 기자 = 코로나19 새 변이주 오미크론의 전개 양상을 예측하는 데 유행을 먼저 겪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사례는 중요한 분석 모델이 되고 있다.
남아공에서 오미크론이 처음 발견된 건 작년 11월 말. 이 직후 유행이 시작됐지만 한 달도 채 되지 않은 12월 말 '정점을 지났다'는 보고가 나왔다.
오미크론 물결이 지나간 남아공은 정말 코로나19 감염 안정기에 접어든 걸까.
◇확진자 수 정점 찍고 안정
국제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13일 기준 남아공의 신규 확진자는 5917명으로 집계됐다. 일주일 전인 7일만 해도 9259명이었는데, 그제(11일) 5668명, 전일(12일) 6760명으로, 감소세가 뚜렷하다.
기간을 더 넓히면 감소 경향은 보다 분명해진다. 한 달 전 무렵인 지난달 15일 남아공의 신규 확진자 수는 2만6976명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델타 유행 당시 최대 기록(2만6485명)을 넘어섰다.
지난 11일(현지시간) 기준 지난 3개월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수 추이 (미국 존스홉킨스대 코로나19 데이터 화면 갈무리) ©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오미크론 유행기 확진자 수가 델타 유행기를 넘어선 뒤 일주일 만인 12월 22일 남아공에서는 처음으로 '정점을 지났다'는 보고가 나왔다. 남아공 국립전염병연구소(NICD) 역학보고서에 따르면 12월 18일 기준 신규 확진자 수가 전주 대비 20.8% 감소했다.
◇'비교적' 경미한 증상·낮은 입원
오미크론 유행 초기부터 줄곧 남아공 의료진은 '증상이 비교적 경미하고 입원율도 낮다'고 보고해왔다.
전 세계가 혼란에 빠진 당시 오미크론의 존재를 처음 알린 앙젤리크 코제 남아공 의협 회장은 언론 인터뷰를 통해 "대부분의 환자가 무증상을 보이고, 증상이 있어도 이전에 비해 가볍다"고 안심시켰다.
앙젤리크 코제 남아공 의협 회장 BBC 방송 인터뷰 온라인 보도 화면 갈무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후 이를 뒷받침하는 남아공 연구 결과 수십 건이 발표됐다. 오미크론 감염 증상은 앞선 델타 변이와 달리 호흡곤란이 없고, 마른기침과 피로, 두통, 발열 등 일반 감기와 유사한 것으로 보고됐다.
지난 11일에도 오미크론이 빠르게 확산한 이유는 바로 무증상 보균자가 많기 때문이라는 님아공 연구 결과 2건이 나왔다. 이에 '오미크론은 팬데믹 종식 신호'라는 낙관론이 여전히 힘을 얻고 있다.
◇사망자 수 높게 유지되고 있어
다만, 월드오미터로 각국의 감염 상황을 비교하면 현재 남아공이 전반적으로 안정기에 들었다고 말하긴 어려워 보인다.
남아공의 신규 확진 건수는 비교적 낮지만, 사망자 수는 세 자릿수로 높은 편이다. 한국 시간으로 2022년 1월 14일 오전 10시 27분(GMT 1시 27분) 기준 월드오미터 갈무리. © News1 최서윤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확진 건수가 더욱 안정된 이달에도 남아공의 사망자 수는 일주일 전인 지난 7일 140명, 그제(11일) 119명, 어제(12일) 181명이었다.
남아공의 오미크론 정점으로 관측된 지난달 15일 사망자 수는 54명, 입원환자 수는 620명이었다.
코로나 관련 사망 건수는 오히려 확진 건수 정점 때보다 증가한 셈이다.
오미크론 파동을 먼저 겪은 남아공이 지금도 일정 수준의 확진 건수와 함께 비교적 높은 사망 건수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부분으로 보인다.
남아공에서도 아직 오미크론의 진행 양상을 낙관하진 않는 분위기다. 톰 몰트리 남아공 케이프타운대 인구통계학 교수는 파이낸셜타임스 인터뷰에서 "이전 유행 때처럼 많은 사람이 죽어나가는 건(utter carnage) 아니지만, 오미크론으로 여전히 의료 체계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오미크론 변이발 코로나19 재유행으로 해외여행이 다시 주춤한 가운데,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 캠스베이 해변에 텅 빈 리클라이너가 보인다. 2021. 12. 3. © 로이터=뉴스1 © News1 최서윤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다만, 남아공은 인구가 상대적으로 젊은 편(평균 연령 27세, 한국은 42세)이고, 백신 접종률이 27.4%로 세계 평균(50.3%)의 절반 수준이며, 이전 감염인구가 많다(인구 6000만 중 공식 누적 350만, 실제로는 더 많을 것으로 예측)는 점에서 일반화는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남아공은 에이즈 원인균인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보균자가 세계에서 가장 많다(20.4%, 영국 HIV 환자 지원단체 Avert 2019년 발표 기준)는 특이점도 있다. 무엇보다 국가별로 의료역량도 다르다.
몰트리 교수는 "우리의 경험을 다른 나라에 과잉추론해선 안 된다"고 경고했다. 또한 그는 "오미크론을 두고 세상이 끝났다거나 아무것도 아니라고 말하는 건 시기상조"라며 극단적 결론이나 성급한 일반화를 경계했다.
sabi@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