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무시하는 게 아니라 도와드려야 한다는 얘기"
與 "가난하고 못 배우면 자유로운 인간 될 수 없나"
與 "가난하고 못 배우면 자유로운 인간 될 수 없나"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22일 오후 전북 전주시 덕진구 전북대학교에서 열린 전북선대위 출범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22일 오후 전북 전주시 덕진구 전북대학교에서 열린 전북선대위 출범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22일 "극빈한 생활을 하고 배운 것이 없는 사람은 자유가 뭔지도 모를 뿐 아니라 자유가 왜 개인에게 필요한지에 대한 필요성 자체를 느끼지 못한다"고 말해 또다시 논란을 자초했다.
문제의 발언은 호남 지역을 순회 중인 윤 후보가 이날 전북대 학생들과의 간담회에서 '국민의힘이 외부 세력과 통합하면서도 자유주의 정당으로서 지켜야 할 가치가 뭐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윤 후보는 "자유의 본질은 일정 수준의 교육과 기본적인 경제 역량이 있어야만 존재하고, 개인이 자유가 뭔지 알게 되고, 자유가 왜 필요한지 나오는 것"이라며 '극빈층은 자유를 모른다'는 취지의 위 발언을 덧붙였다.
그러면서 "공동체에서 어려운 사람들을 돕고, 사회에서 산출된 생산물이 시장을 통해 분배된다"며 "저는 상당한 정도의 세금을 걷어, 어려운 사람과 함께 나눠서 교육과 경제 (기반)의 기초를 만들어주는 게 자유의 필수적인 조건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n번방 방지법'과 차별금지법을 두고는 각각 "기술적 문제들을 살펴 개정이 필요하다면 해야 하는 것", "개인의 성적 지향은 차별할 수 없지만 주변에 미치는 영향이 많아 사회적 합의가 중요하다"고 했다.
사진공동취재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사진공동취재단
다만 윤 후보는 간담회 직후 해당 발언 취지를 묻는 지역언론 기자들에게 "그분(극빈층 등)들을 무시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도와드려야 한다는 얘기"라며 "끼니를 걱정할 정도로 사는 게 힘들면 그런 걸(자유 필요성) 느낄 수가 없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가난한 사람이나 공부 못 한 사람이나 다 같이 연대해서 자유를 느끼게 하려면 그분들에게 좀 더 나은 경제 여건이 보장되게 하고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해서 자유의 소중함을 느끼게 해줘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자유민주주의 가치를 위해 공동체가 연대해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하면서도,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라 자유에 관한 인식 자체가 무지할 수 있다는 주장은 굽히지 않은 셈이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2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국민의힘 당사로 출근하고 있다. 박종민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2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국민의힘 당사로 출근하고 있다. 박종민 기자
윤 후보의 이런 발언이 전해지자 여권에선 곧바로 '차별적 인식이 드러났다'며 맹공에 나서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선대위 김우영 대변인은 당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가난하고 못 배우면 자유로운 인간이 될 수 없고 자유롭고 싶어하지도 않는다는 말이냐"며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망언"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헌법전문에 나온 3·1 운동도, 4·19 혁명도 가난하고 못 배운 사람들이 일으킨 한국 현대사의 거대한 진보였음을 윤 후보는 모르는 것 같다"며 "이제는 사과로 끝낼 문제가 아니다. 어떻게 책임질 것인지 밝히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선대위 박찬대 수석대변인은 페이스북에 "설마 역대급 이 망언 진짜입니까"라며 "차라리 이준석 대표에게 마이크 셔틀을 하시지 그랬냐"고 비꼬았다.
시민사회에서도 비판이 나왔다. 진보 지식인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대 교수는 "19세기 존 스튜어트 밀 같은 사람들은 이미 자유를 보편적인 것으로 간주해 가난한 노동자도 자유가 뭔지 인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면서 "윤모(윤 후보)의 사상적 발전은 17~18세기 단계에 머무르는 듯하다"고 했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