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도깨비고사·갯제·등빠루놀이, 패류·연체류 채취기술 등 갯벌어로 국가무형문화재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문화재청이 전통어로 방식 ‘갯벌어로’를 신규 국가무형문화재로 20일 지정했다. 갯벌어로는 ‘맨손이나 손도구를 활용해 갯벌에서 패류·연체류 등을 채취하는 어로 기술, 전통지식, 관련 공동체 조직문화(어촌계)와 의례·의식’이다.

경향신문

갯벌의 굴 양식장에서 호미로 굴을 채취하는 모습.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화재청은 이러한 방식의 어로가 한반도 서·남해안 전역에서 전승되는 점, 조선 시대 고문헌에서 갯벌에서 채취한 각종 해산물을 공납품으로 진상한 기록이 확인된 점, 갯벌어로 기술의 다양성은 학술연구 자료로서 그 가치와 가능성이 높다는 점 등을 평가했다고 알렸다. 갯벌어로와 관련된 생산의례와 신앙, 놀이는 한국 갯벌어로의 고유한 특징인 점, 갯벌의 지질별 어로 도구의 다양성과 지역별 갯벌어로의 특색이 뚜렷한 점 등도 평가했다고 한다. 문화재청은 “마을 사람들이 갯벌을 공동재산으로 여겨 함께 관리하는 등 지금도 어촌공동체(어촌계)를 중심으로 어민들 생업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갯벌은 굴, 조개, 낙지, 새우 등 다양한 해산물의 보고(寶庫)로서 한국 음식문화의 기반이 되어왔다”고 설명했다.

한국에선 해류(海流)와 조류(潮流), 지질(地質) 등 해역에 따라 다양한 어로 기술이 발달했다. 펄갯벌, 모래갯벌, 혼합갯벌, 자갈갯벌 등 갯벌 환경에 따라 어로 방법과 도구가 다르다. 문화재청은 “펄갯벌의 뻘배(널배), 모래갯벌의 긁게·써개·갈퀴, 혼합갯벌의 호미·가래·쇠스랑, 자갈갯벌의 조새 등이 대표적이다. 오랜 세월 전승되면서 같은 도구라도 지역별로 사용방법이 분화된 것이 특징”이라고 했다.

경향신문

전남 장흥군 노력도의 갯제.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같은 패류·연체류라고 해도 지역별로 어획 방법이 다르다. 모시조개(가무락)의 경우 펄갯벌은 숨구멍을 눈으로 확인하기 쉽고 맨손으로도 작업이 용이하다. 모래갯벌은 모시조개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워 호미로 갯벌 바닥을 두드린다. 호미 진동에 놀란 모시조개가 물을 뿌리거나 입을 벌리는 것을 보고 위치를 확인한다. 이를 두고 어민들은 ‘눈을 뜬다’라고 한다.

서·남해안에서 발굴된 신석기·청동기·철기·고려 시대 패총에서 갯벌에서 채취한 패류(참굴, 꼬막, 바지락 등)가 다량으로 확인됐다. 갯벌의 각종 패류·연체류 등은 정약전(丁若銓, 1758~1816)의 <자산어보(玆山魚譜)>에 관련 기록이 구체적으로 나온다.

생산의례와 신앙, 놀이는 한국에서만 찾아볼 수 있다. ‘갯제’는 ‘조개부르기’, ‘굴부르기’ 등으로 부른다. ‘갯벌 해산물의 풍요를 기원하며 동네 주민들이 조개나 굴 등을 인격화하여 갯벌에 불러들이는 의식’이다. 풍어를 예측하는 ‘도깨비불 보기’, 굴과 조개를 채취한 뒤 마을 사람들이 함께 노는 ‘등빠루놀이’도 내려온다.

경향신문

옛 노두에서 신행(新行·신부가 혼례를 마치고 신방을 치른 뒤 신랑집으로 가는 의식) 길을 재현한 모습. 노두는 ‘섬과 섬 사이에 징검다리를 놓아 썰물 때 걸어 다니는 길’이다.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깨비 신앙’도 전승되어 왔다. 어민들은 바닷물이 빠져나갈 때 갯벌 구멍에서 나오는 ‘뿅뿅’ 소리를 도깨비가 걸어가면서 생긴 소리라고 여겼다. 갯벌 내 어·패류의 활동을 도깨비가 관장한다고 믿었다. ‘어장고사’를 지낼 때 메밀범벅이나 메밀묵을 제물로 올렸는데, 이는 도깨비가 메밀 냄새를 좋아한다는 설(說)에 따른 것이다. 풍어를 기원하는 어장 고사를 ‘도깨비 고사’라 부르기도 한다.

문화재청은 한반도 서·남해안 전역의 갯벌 어민들이 전승·향유한다는 점에서 특정 보유자나 단체는 인정하지 않았다.

김종목 기자 jomo@kyunghyang.com

▶ [뉴스레터] 식생활 정보, 끼니로그에서 받아보세요!
▶ [뉴스레터]교양 레터 ‘인스피아’로 영감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