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1 (토)

이슈 '오미크론' 변이 확산

"글로벌 중앙銀, 오미크론으로 인플레이션 지속될 위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WSJ보도…"오미크론, 성장 위협보다 인플레 촉발"

뉴스1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 워싱턴 본부 © AFP=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신기림 기자 = 전세계 중앙은행들은 오미크론 변이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것을 우려한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평가했다. 오미크론이 이전의 변이들에 비해 성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크지 않을 수 있지만, 물가에 더 큰 압박을 가할 수 있다고 중앙은행들은 전망했다고 WSJ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오미크론이 전세계로 퍼지며 국경은 폐쇄되고 경제활동을 제약하는 새로운 조치들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세계 중앙은행들은 팬데믹 초기처럼 완화적 통화정책으로 경제를 부양하는 대신 정반대로 금리를 올리고 부양을 회수하는 쪽으로 움직였다.

지난주 미국, 영국, 유로존의 중앙은행들은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응하며 모두 긴축적으로 통화정책을 전환했다고 WSJ는 전했다. 이는 팬데믹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중앙은행들의 판단 변화를 의미한다고 WSJ는 설명했다.

오미크론 변이가 경제성장을 위협하는 것보다 높은 인플레이션을 지속시킬 위험을 더 크게 보는 것이다. 새로운 변이가 지출과 고용성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팬데믹 초기에 비해 훨씬 덜하다. 대신 공급망 정체가 지속되며 인플레이션이 고공행진할 위험이 커졌다는 것이 중앙은행들의 판단이다.

감염 확산에 소비자들은 대면 서비스보다 전자제품, 가구와 같은 비대면 제품을 더 많이 소비한다. 제로감염을 목표하는 중국에서 공장과 항만이 운영과 폐쇄를 반복하며 제품 공급도 원활하지 않다. 감염우려에 구인난과 임금상승 압박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WSJ는 예상했다.

오늘날 각국 정부들은 오미크론 변이에도 새로운 제한조치를 적용하기를 꺼리기 때문에 수요가 공급보다 더 많이 위축됐던 팬데믹 초기와는 정반대의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고 캐피털이코노믹스의 폴 애쉬워스 북미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말했다.

일례로 미국에서 지난해 팬데믹 발병 이후 첫 2달 동안 일일 신규확진자는 3만1000명을 넘기며 성장률은 연율기준 마이너스 31.2%로 곤두박질했다. 반면 올해 1분기 일평균 신규확진이 25만명에 달했지만 미국은 6.3% 성장했다.

결국 이제는 공급이 수요보다 더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애쉬워스 이코노미스트는 지적했다. 그는 "디플레이션(물가하락)보다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압박이 더 클 수 있다"고 덧붙였다.
shinkirim@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