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1 (토)

이슈 '오미크론' 변이 확산

전세계 절반 오미크론 못막는 非 mRNA 백신 접종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중소득·저소득 국가들 대부분 중국·러시아산 백신 사용
오미크론 감염이 크게 번지면 보건시스템 붕괴 가능성
"선진국 안맞는 백신 우리도 안맞겠다" 불신 키우기도
뉴시스

[산티아고=AP/뉴시스] 6일(현지시간) 칠레 산티아고에 있는 백신 접종소에서 올해 5세 된 어린이가 시노백 백신 1차 접종을 하고 있다. 전세계 인구 절반 이상이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방어력이 거의 없는 중국산 백신을 맞았다. 2021.12.07.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강영진 기자 = 화이자사와 모더나사가 개발한 mRNA백신을 추가접종(부스터샷)하는 경우를 제외한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들 전부 신종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되는 것을 막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늘어나고 있다고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그러나 모든 종류의 백신이 오미크론으로 인한 중증화는 막아주는 것으로 보여 중증화 예방을 백신 접종의 주목적으로 삼아야 한다고 NYT는 강조했다.

초기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얀센 백신, 중국 및 러시아가 개발한 백신 모두 오미크론 감염을 거의 또는 전혀 막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세계 대부분 국가들이 이들 백신을 주로 접종하고 있기 때문에 팬데믹 상황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전히 수십억명이 백신 접종을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코로나 감염자가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변이 발생의 위험도 커지고 있다. 반면 각국이 팬데믹에 대처하는 능력 차이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전세계 개발도상국의 백신에 대한 거부감도 커지고 있다.

현재까지 제시된 연구 결과들은 모두 실험실에서 이뤄진 실험결과들이며 인체의 면역반응 일부만을 대상으로 이뤄진 것들이지만 결과는 놀라울 정도다.

mRNA 신기술을 사용한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은 지금까지 발생한 모든 변이에 대해 상당한 방어력을 보여왔다.

시노팜사와 시노백사가 개발한 중국의 백신은 전세계에 공급된 백신의 절반 가량을 차지하지만 오미크론 감염에 대한 방어력은 거의 없다. 중국인들이 대부분 이 백신을 접종했으며 멕시코와 브라질같은 저소득 및 중간소득 국가들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영국에서 실시된 백신효과 연구에서 아스트라제네카사 백신은 접종 후 6개월이 지나면 오미크론 감염을 전혀 막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 인구의 90% 가량이 이 백신을 맞았으며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 대부분 국가들에서도 세계 백신공급 프로그램인 코백스(Covax)가 44개국가에 6700만회분을 공급하는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연구자들은 러시아가 개발한 스푸트닉 백신도 오미크론에 대한 방어력이 약할 것으로 보고 있다. 스푸트닉 백신은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아프리카의 경우 한 차례만 접종하는 얀센 백신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지만 이 백신도 오미크론 감염은 거의 막지 못한다.

백신을 접종하면 항체가 생기고 T세포를 활성화한다. 연구에 따르면 T세포는 오미크론 변이를 인지하고 공격한다. 이 점이 오미크론이 중증화하지 않는 이유다.

그러나 국제전략연구소(CSIS)의 전세계보건정책국장 스티븐 모리슨은 이것 만으로는 전세계가 혼란에 빠지는 것을 막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는 "감염규모가 보건시스템이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 될 것"이라면서 "전세계에서 감염이 급증하면서 '전쟁이 끝나는 것인가' 아니면 '전쟁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드는 것인가'를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돌파감염된 사람들은 무증상이거나 증상이 약하지만 여전히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사람들을 감염시킬 수 있으며 이들이 심하게 앓는 경우 새로운 변이가 출현할 수 있다.

세계백신연합(GAVI) 세스 버클리 대표는 오미크론에 대한 백신의 효과를 검증하려면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며 백신 접종을 서두르는 것이 팬데믹 대응의 초점이 돼야 한다고 강종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경우 코로나에 감염됐던 사람들이 오미크론에 재감염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보건전문가들은 브라질이나 인도처럼 코로나 감염자가 크게 확산됐던 국가들의 경우 오미크론 감염이 늦춰질 수 있으며 감염 뒤에 백신을 접종하면 항체가 크게 증가한다고 말한다.

인도의 전염병학자 라마난 락스미나라얀은 "감염된 뒤 백신을 접종한 경우가 백신만 접종한 경우보다 더 강력한 면역력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인도는 성인 백신 접종률이 40% 정도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90%가 감염되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인도에서 오미크론이 확산할 것이 분명하지만 인도는 백신과 감염 확산 덕분에 오미크론에 대한 저항력이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백신 자체의 면역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은데 더해 강력한 제로 방역 정책으로 인도처럼 감염이 광범위하지 않았다. 코로나 발원지로 알려진 우한시도 감염률이 7%에 불과하다.

중남미 국가들 상당수가 중국과 러시아 백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의존하고 있다. 칠레대학교 마리오 로젬블라트 면역학교수는 칠레 국민의 90%가 두차례 접종을 완료했지만 대부분 코로나박, 시노박백신이라고 말했다. 그는 백신 접종률이 높은 상황과 오미크론이 중증화를 막는다는 초기 보고들이 겹쳐 방역 개념이 느슨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감염력이 크면 앓는 사람이 급증해 보건 시스템이 무너진다는 점을 사람들이 모른다"고 말했다.

브라질은 모든 사람이 부스터샷을 맞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화이자백신을 부스터샷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백신접종자의 40% 만이 부스터샷을 맞았다. 리우데자네이루연방대학교 바이러스학자 아밀카르 타누리 박사는 기존에 감염률이 높았기 때문에 오미크론으로 인한 갑작스런 충격이 발생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전망하면서도 브라질 국민들이 초기에 맞은 백신이 대부분 코로나백 백신이며 수백만명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은 점을 걱정했다.

모리슨박사는 오미크론이 백신을 돌파할 수 있다는 점이 중간소득 및 저소득 국가에게는 "커다란 차질"이라고 말했다. 이들 국가에서는 부스터샷은 고사하고 1차 접종조차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는 "부스터샷을 서둘러 맞은 국가들과 백신 접종이 진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새로운 확산에 직면한 국가들로 세계가 나뉜다"고 말했다.

아프리카의 경우 전 주민의 13%만이 1차례 이상 백신을 접종했다.

락스미나라얀박사는 인도 정부가 부스터샷 접종을 검토하고 있지만 인도에서는 여전히 델타변이가 우세종이라면서 델타변이는 두차례 접종만으로 충분하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정부가 2차례 백신 접종률을 높여야 하는지 아니면 노약자들이 오미크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부스터샷을 접종하도록 해야 하는 지를 두고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 mRNA 백신이 오미크론 감염을 거의 막지 못한다는 점은 백신에 대한 저항이 큰 나라들에서 백신 접종을 더욱 기피하게 만들 것이라고 모리슨 박사는 지적했다. "백신 전체의 효능을 의심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존스홉킨스블룸버그 의과대학 선임연구원 톨베르트 응엔스와는 비 mRNA 백신에 의존해온 지구 남쪽 국가들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위협은 중소득 및 저소득 국가들에서 면역력을 구축하기 위한 기술을 나눠주지 않은 부자나라들의 잘못에 대한 경고라고 말했다.

가비의 버클리 박사는 백신 접종을 완화하거나 mRNA 백신만 보급해야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말했다.

그는 ""잘사는 나라에서 사용하지 않는 백신은 우리도 쓰지 않겠다는 나라가 생길 수 있다"면서 "이 백신들도 중증화와 사망을 줄이기 때문에 잘못 생각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jkang1@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