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군 스마트 낙지 과제 서비스 개요/사진제공=과기정통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갯벌 속 어디에 낙지가 많이 사는지 파악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이 개발됐다. 고령화된 어민들이 보다 쉽게 낙지를 잡을 수 있고, 지방자치단체는 낙지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전남 신안군,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올해 스마트빌리지 사업으로 추진된 신안군 도초면에서 추진된 '갯벌어장 스마트 낙지 조업지원 및 자원관리 서비스'의 현장 시연 및 성과보고회를 13일 개최했다.
스마트빌리지 사업은 농·어촌의 생산성 향상과 안전강화, 생활편의 서비스 발굴을 위해 과기정통부가 지난 2019년부터 진행해 왔으며, 올해 신안군을 포함한 전국 5개 지역의 과제를 선정해 추진 중이다.
낙지는 신안군 어민들의 주 수입원이지만 최근 인구 감소와 고령화, 해양 오염, 남획 등으로 어획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에 과기정통부와 신안군은 무인 드론과 AI 기술을 이용해 낙지의 위치와 개체 수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우선 무인 드론으로 갯벌어장 전체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낙지의 숨구멍인 '낙지부럿' 약 6만여건을 판독해 낙지분포 정밀지형도를 제작한 뒤 AI가 반복적으로 학습하도록 했다. 이 같은 과정을 거쳐 개발된 '드론 기반의 갯벌어장 낙지 자원량 산정' 서비스는 어민들 누구나 '스마트 신안' 앱이나 웹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으며, 갯벌환경 관측과 낙지 분포 확인도 가능하다.
이와 함께 'IoT(사물인터넷) 기반의 불법 낙지조업 감시·알람체계 구축' 서비스도 개발됐다. 도초면 어촌계 소속 50여척의 어선에 IoT+GPS 센서를 부착해 미등록 선박을 식별하고 비정상 조업이 인식되면 경고 알람을 보내는 방식이다. 또 '스마트신안' 앱 서비를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도 가능하다.
과기정통부와 신안군은 이번 '스마트 낙지 서비스'를 해수부의 '갯벌형 연안바다목장 조성사업' 등과 연계해 신안군 전역에 확대 보급할 계획이다.
박윤규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스마트 낙지 서비스는 지역 디지털 뉴딜의 대표적 성과 사례"라며 "갯벌 어장 전반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타지역으로 확산되도록 해양수산부 등 관계부처 및 지자체 등과 적극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변휘 기자 hynews@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