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中企 취업자 늘었지만 비중은 13개월 연속 90% 하회…코로나 영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취업자 감소후 올들어 증가세…대기업은 코로나 사태에도 지속 증가

연합뉴스

中企 취업자 늘었지만 비중은 13개월 연속 90% 하회…코로나 영향 (CG)
※ 기사와 직접 관계가 없는 자료사진입니다.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전체 취업자 중 중소기업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13개월 연속 90% 선을 밑돈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0월 취업자 2천774만1천명 가운데 종사자 300인 미만 중소기업 취업자는 2천487만4천명으로 전체의 89.7%에 달했다.

이 비중은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4년 1월 이후 줄곧 90% 선을 웃돌았으나 지난해 10월(89.9%) 처음으로 90% 선 아래로 떨어졌다.

이어 올해 10월까지 13개월 연속 90% 선을 밑돌고 있다.

반면 종사자 300인 이상 대기업 취업자 비중은 10%를 웃돌고 있다.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음식점과 숙박업소 등 대면 업종이 많은 중소기업이 그만큼 큰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중소기업 취업자는 코로나19 1차 대유행이 시작된 지난해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12개월 연속 줄었다.

특히 올해 1월에는 중소기업 취업자가 2천308만2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0만4천명이나 급감했다. 이로 인해 중소기업 취업자 비중은 89.4%까지 떨어져 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그래픽] 중소기업 취업자 비중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0eun@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연합뉴스

취업자 감소 (PG)
[김토일 제작] 일러스트


그러다 올해 들어 코로나19가 다소 잠잠해지고 일상이 점차 회복되면서 중소기업 취업자는 증가세로 돌아섰고 3~10월 8개월 연속 증가 흐름을 이어갔다.

하지만 아직 중소기업 취업자 비중은 90% 선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중소기업 취업자가 코로나19 사태로 줄었다가 다시 증가세로 돌아서긴 했지만, 대기업 취업자가 코로나19 속에서도 지난해 3월 이후 꾸준히 증가세를 유지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지난달부터 코로나19 확진자가 다시 급증하기 시작하면서 중소기업이 재차 큰 타격을 받고 있어 당분간 중소기업 취업자 비중이 90% 선을 회복하긴 쉽지 않아 보인다.

여기에다 코로나19 새 변이인 오미크론까지 확산하고 있어 연말 대면 업종이 많은 중소기업의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도 연말에 코로나19가 재유행하면서 올해 초까지 중소기업 취업자가 크게 줄어든 바 있다.

[표] 올해 월별 취업자 및 취업자 비중 (단위: 천명, %)

구분12345
취업자전체25,81826,36526,92327,21427,550
대기업2,7372,7852,7922,8062,826
중소기업23,08223,57924,13124,40824,724
취업자 비중대기업 10.610.610.410.310.3
중소기업89.489.489.689.789.7
678910
취업자전체27,63727,64827,60327,68327,741
대기업2,8082,8122,7862,8002,867
취업자 비중중소기업24,83024,83624,81724,88224,874
대기업 10.210.210.110.110.3
중소기업89.889.889.989.989.7

kaka@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