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백제 사비도성 감싼 '부여나성' 축조 기술 단서 찾았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연 퇴적된 원지형 기반 기초공사 진행 흔적 확인"

뉴스1

부여 나성 발굴조사 원경.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윤슬빈 기자 = 삼국시대 백제 사비도성을 감싸는 외곽 시설물이던 부여 나성의 축조 기술을 밝힐 수 있는 단서가 발견됐다.

6일 문화재청은 부여군이 추진하는 '부여 나성(북나성) 발굴조사'에서 북쪽 출입시설(북문지, 北門址)의 존재와 함께 나성의 축조 기술을 밝힐 수 있는 단서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부여나성은 백제 사비도성을 감싸는 외곽 시설물로서 도성을 보호하고 도성의 내·외부 경계를 구분하기 위해 쌓았다. 사비 천도(538년) 전후한 시점에 축조된 것으로 확인되어 사비도성이 계획도시였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핵심시설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조사는 부여 나성 중 도성의 북동쪽 방비를 담당하는 북나성에 대한 10차 발굴조사로 북나성에서 부소산성으로 이어지는 성벽의 진행 방향과 축조 양상을 규명하기 위해 지난 4월부터 조사해 7월에는 북나성에서 처음으로 문지가 확인되면서 주목받은 바 있다.

조사는 가증천의 제방에 접하여 존재하는 북쪽 성벽의 축조 방법을 확인하기 위해 나성 발굴조사 이래 처음으로 평면 조사를 시행했고, 그 결과 북문지의 존재와 함께 남아있는 상태가 양호한 약 60m의 성벽을 확인할 수 있었다.

뉴스1

성벽 조성 이전 구덩이와 내부 퇴적 유기물의 세부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뉴스1

성벽 단면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에 확인된 북나성 성벽 축조기술을 살펴보면, 먼저 성을 쌓기 위해 자연 퇴적된 원지형을 기반으로 새롭게 흙을 깔아 평탄화하는 기초공사가 진행된 흔적을 발견했다.

기초공사는 성벽 주변의 넓은 범위에 걸쳐 진행했고, 하천변의 저습하고 연약한 지반을 단단하게 하려고 판판한 돌을 넓게 깔거나 혹은 산사토 덩어리들을 섞어 대지를 조성한 것으로 확인했다.

성벽은 잘 다져진 대지 위에 돌을 가공하여 외벽면을 쌓고 안쪽은 흙을 산처럼 쌓으면서 조성되는데, 이중 돌로 쌓은 석축부는 저습한 연약 지반에서 성벽의 무게를 견디도록 하려고 석축 단면이 사다리꼴이 되게 쌓아 안정감을 줬다.

또한 석축부에 덧붙여서 안쪽에 흙으로 쌓은 토축부는 5~10㎝ 두께로 흙을 다져가면서 쌓은 양상인데, 성벽의 진행방향에 따라 3.2~5.1m 규모로 흙을 쌓은 공정의 단위가 확인되어 주목된다.

특히 토축부 공정이 구분되는 지점에 따라 석축부의 축조 형태가 달라지는 양상이 확인돼 성벽의 유기적인 축조 공정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조사를 통해 확인한 성벽의 남은 높이는 최대 2m, 성벽 폭은 최대 14.2m인데, 성벽 폭의 경우엔 조사지역 밖으로 연장되고 있어서 더 넓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성벽의 내측 토축부에서 개배(뚜껑이 있는 접시), 직구소호(그릇 입구가 곧게 뻗은 작은항아리) 등의 유물이 출토되어 성벽의 조성이 6세기 중엽 경에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었다.

문화재청은 "이번 조사가 진행된 북나성 일대는 가증천이 백마강과 합류되는 지점으로 '삼국사기'에 기록된 포구인 북포로 비정되는 곳"이라며 "바로 이곳에서 북문의 존재가 확인되면서 육상과 수로를 연결하는 백제 사비기 교통체계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마련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이번 조사 성과가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한편, 문화재청은 이날 오후 발굴 현장을 공개하며, 조사기간 상시 개방해 국민과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백제문화에 대한 자긍심과 정체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seulbin@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