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내수 겨우 살아났는데…오미크론, ‘4%대 성장률’ 발목 잡나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거리 두기 강화, 회복세 찬물
재고율 상승 등 제조업 부진에
물가 장기간 고공행진도 부담
기재부, 성장률 전망 낮출 듯



경향신문

썰렁한 인천 거리 인천에서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 확진자가 잇따라 나온 5일 인천도시철도 주안역 식당 밀집지역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인 오미크론 확산으로 공급 차질이 장기간 지속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으로 회복세를 보였던 내수마저 거리 두기 제한 조치가 강화되면서 오미크론이 경제에 미치는 충격이 확대될 것이라는 경고도 나온다. 반면 백신 부스터샷 접종 등 발빠른 대응으로 제한적인 충격에 그칠 것이라는 엇갈린 전망도 나온다.

5일 관계부처 취재를 종합하면, 기획재정부는 이달 말 경제정책방향과 함께 발표하는 경제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조정할 계획이다. 올해 한국 경제가 4.2%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소폭 낮추는 방안을 고심 중이다. 예상보다 저조한 3분기 성장률과 4분기 오미크론 변이 출현과 방역 강화 등으로 4%대 성장률 달성이 쉽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실제 제조업은 부진한 모습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7월 104.4%였던 제조업 재고율은 10월에 121.0%를 기록하며 석 달 만에 약 16.6%포인트 상승했다. 일반적으로 경기수축 국면에서는 출하하지 못한 재고가 쌓이면서 재고율이 상승한다. 특히 반도체 재고는 전월 대비 31.6%나 늘었다. 오재명 KB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반도체 가격 조정으로 일시적인 출하가 줄어든 영향도 있지만 출하 감소세가 지속된다면 점차 생산도 감소세를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지난 9월부터 완화된 거리 두기로 내수가 살아났지만 오미크론의 국내 상륙으로 이마저도 장담할 수 없게 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이날 ‘경기 하강 신호 속 오미크론발 경착륙 리스크 직면’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의 겨울 대유행과 오미크론 변이 확산 시기가 겹치면서 소비 심리가 악화되거나 위드 코로나 정책이 후퇴할 경우 또 다른 경제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오미크론이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높일 것이라는 전망도 잇따르고 있다. 미국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는 내년 세계경제 성장률이 기존 전망치(4.6%)보다 0.4%포인트 이상 하락할 수 있다고 예상한 데 이어 4일(현지시간)에는 소비와 물류에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이유로 4분기 미국 성장률을 3.3%에서 2.9%로 0.4%포인트 낮췄다. 조지프 브릭스 골드만삭스 이코노미스트는 보고서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경제활동 재개를 지체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도 지난 3일 세계 경제 관련 회의에 참석해 “10월 세계 성장 전망을 다소 하향 조정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오미크론 확산으로 물가 고공행진이 예상보다 길어질 수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델타 변이 유행 때에도 감염 우려로 아시아의 주요 생산기지가 문을 닫은 상황에서 글로벌 수요가 상품 부문에 쏠리며 물가 오름세가 장기화됐다. 최근 해상운임 상승세가 둔화되는 등 물류 차질이 완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다시 감염 우려가 커지면 병목 현상 재현이 불가피하다.

반면 글로벌 경기가 내년에도 회복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낙관론도 나온다. 이날 한국은행은 ‘해외경제 포커스’를 통해 “오미크론 변이 발생으로 향후 감염병 전개 양상을 예측하기 어려워졌다”면서도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개발, 선진국의 부스터샷, 신흥국의 백신 접종률 상승세 등에 힘입어 방역 강도는 완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박상영 기자 sypark@kyunghyang.com

▶ [뉴스레터] 식생활 정보, 끼니로그에서 받아보세요!
▶ [뉴스레터]교양 레터 ‘인스피아’로 영감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