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日정부 "사장 후보는 타사 경력 있어야" 이색 권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직된 고용 구조 탈피 움직임


【파이낸셜뉴스 도쿄=조은효 특파원】 일본 정부가 이달 중으로 일본의 민간 기업을 향해 "사장 후보라면 타사 근무 경력 갖춰야 한다"는 지침을 발표할 예정이다. 연공서열 등 경직적 고용구조를 바꿔보겠다는 발상에서 비롯된 것인데, 강제력없는 권고사항에 불과하다고는 하나, 정부가 민간 기업 사장 자격으로 '타사 경험'을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한다는 게 다소 이색적인 모습으로 비친다.

1일 요미우리신문은 일본 경제산업성이 기업의 경영과 인재 전략을 강화하기 위해 사장 후보자에게 사외 경영 경험을 요구하고, 사내 주요 직책을 공모제로 하도록 촉구하는 내용의 지침을 만들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요미우리는 "연공서열이 강한 일본 기업의 인사 제도에 근본적인 재검토를 요구함으로써, 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경영 후계자 예비 그룹을 선발해 타사에서 경영 경험을 쌓도록 하는 방안, 기업의 전략적 인재 관리를 위해 최고인사책임자 직급 설치, 연수 휴가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일본에서도 종신고용제는 이미 옛말이 되고 있으나, 여전히 연공서열에 의한 경직적 고용구조가 강한 편이다.

일본에서 타사 경험이 있는 최고경영자(CEO)는 전체의 18% 정도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는 94%, 유럽은 86% 정도다. 전직·이직이 활발한 미국·유럽과 달리, 일본의 경우 연공서열에 의한 순혈주의가 강하다. 고용안정성이 강한 반면, 회사 밖에 있는 인재 영입이나 융화가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디지털 전환, 탈탄소 등 급변하는 시대 변화에 발맞추기 위해서는 외부의 실력있는 인재 수혈과 이들의 활발한 이직이 뒷받침돼야 하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경직적 고용구조는 노동생산성 저하와도 연결된다. 일본 생산성본부의 '노동생산성의 국제비교'에 따르면 일본의 지난 2019년 1인당 노동생산성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회원 37개국 중 26위로 197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