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현지시간) 영국 글래스고에서 막을 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알록 샤르마 COP26 의장이 박수를 받고 있다. 글래스고 |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유럽연합(EU) 등이 지난 13일 폐막한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합의 사항을 이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후속 계획을 속속 내놓고 있다. EU는 화석연료 기업에 메탄 배출량 보고를 의무화하는 법안을 마련했고, 이스라엘과 요르단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재생에너지와 수자원을 맞바꾸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로이터통신 등은 22일(현지시간) EU가 석유·가스 기업에 메탄 배출량 보고를 의무화하는 내용의 법안 초안을 마련했다고 보도했다. 법안이 시행되면 석유·가스 사업자는 12개월 이내에 메탄 배출량을 추산해 보고해야 한다. 메탄 누출이 있는 곳을 탐지하고 수리하기 위한 정기적인 검사도 수행해야 한다.
앞서 환경단체들은 가스 기업들이 노후화된 파이프라인 등에서 메탄이 누출되지 않도록 점검이나 보수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EU가 기업들의 누출 점검 강화를 강제하는 내용은 초안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EU 집행위원회는 법안을 다음달쯤 발표한 뒤 유럽의회와 회원국 간의 조율을 이어갈 전망이다.
이스라엘과 요르단의 협력은 지역적 특징을 살린 기후대응 공조 사례로 주목된다. 대체에너지는 기상조건 등에 따라 생산량이 일정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때문에 대체에너지 생산이 수월한 국가에서 부족한 국가로 전력을 보내는 초국가적 전력망 사업이 COP26에서 논의된 바 있다. 이스라엘과 요르단의 이번 계획도 COP26에서 서명될 예정이었으나 예산 문제와 정치적 파장을 고려해 연기됐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공조로 양국이 정치적 긴장을 한층 해소할 것이란 기대도 나온다. 이스라엘과 요르단은 1994년 평화협약을 체결했지만 1967년 제3차 중동전쟁에서 이스라엘이 요르단에 속해있던 동예루살렘을 점령한 뒤 이 곳에 있던 이슬람 성지를 둘러싸고 갈등을 빚은 바 있다.
박용하 기자 yong14h@kyunghyang.com
▶ [뉴스레터]교양 레터 ‘인스피아’로 영감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