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수 수급난'으로 '공사현장 셧다운'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건설업계는 "당분간은 문제없다"는 입장이다. /더팩트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일각서 공사현상 셧다운 우려…업계 "비축분 있다"
[더팩트|이민주 기자] '요소수 대란'이 산업 전 분야로 확산하는 가운데 건설업계에서는 "예견된 사태"라는 쓴소리가 나온다. 다만, 업체별로 최소 이달까지는 충분히 버틸 수 있는 비축분을 확보한 데다, 정부가 요소수 수급난 대책 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만큼 요소수 품귀 현상이 장가화하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요소수 수급난이 장기화하고 있다. 요소수 수급난은 이달 초 중국의 원료 수출제한 조치에서 시작됐다.
요소수는 디젤 차량에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을 정화시키기 위해 선택적 촉매 감소기술에 사용되는 물질이다. 정부는 지난 2015년 9월 '유로6' 환경규제를 통해 경유차 요소수 투입을 의무화했으며, 우리나라는 요소수 원료인 산업용 요소 97.6%를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건설 현장에서는 덤프트럭, 레미콘 등 디젤엔진을 사용하는 건설장비에 요소수가 필요하다. 업계에 따르면 건설 현장에서 운용하는 건설기계는 53만여 대이며, 요소수를 사용하는 장비는 17만6000여 대(33%)다. 특히 굴삭기, 펌프카 등 기계는 하루 평균 200~300ℓ의 디젤을 소모하며 이때마다 10ℓ의 요소수가 필요하다.
때문에 일각에서 제기되는 '공사현장 셧다운'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건설업계는 일단 "당장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는 쪽으로 의견이 모인다. 이들이 비축한 요소수 재고분은 20~50일 치 수준이다.
'요소수 대란'을 예상하고 물류 대란이 벌어질 때를 대비해 이송·운반이 필요한 자재를 미리 비축하고, 협력업체에 요소수 확보에 협력해달라고 요청하는 등 대비에 나선 곳도 적지 않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업계에서는 이미 지난달부터 (요소수 수급난) 예상이 됐던 부분"이라며 "시멘트 등 협력업체에 미리 (요소수를) 확보를 해놓고 가자고 해서 당분간 쓸 물량은 충분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건설 현장에서 운용하는 건설기계는 53만여 대이며, 요소수를 사용하는 장비는 전체의 33% 수준인 17만6000여 대다. /더팩트 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다른 관계자 역시 "건설 장비가 멈추는 것 보다도 시멘트 등 자재 수급 부족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며 "대란 초기에 현장에 필요한 자재를 확보해놨다. 아직 현장에서 문제는 없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정부가 요소수 관련 대책을 적극 마련하고 있는 만큼 사태가 장기화할 우려는 적다고 내다봤다.
정부가 최근 확보한 요소수 사용량은 8만 t 수준이다. 호주산 요소수 2만7000ℓ, 군부대 예비분 20만ℓ, 국내 요소수 보유 물량이 1561ℓ이며, 중국에서 수입하는 요소 1만8700t, 베트남 수입 요소 5200t이다. 업계는 정부가 확보한 요소수 물량으로 3개월 이상을 버틸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정부는 전날(11일) 요소와 요소수 수급 안정화를 위한 긴급수급수정조치 역시 발표·시행했다. 이에 따라 연말까지 차량용 요소수를 주유소에서 판매한다. 승용차와 화물·승합차 1대당 최대 구매량은 각 10ℓ, 30ℓ로 제한하고 요소수의 중고거래 판매도 금지했다.
이외에도 정부는 요소수 공급방식 개선, 요소수 대체재 개발 등 다양한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 급기야 최근 현재 개발에 근접한 요소수 대체기술(비요소수계 선택적 탈질촉매)도 거론되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요소수 품귀 사태가 장기화하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다만 사측에서도 정부에서도 관련해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다"며 "요소수가 전 세계적으로 물량이 부족해 문제가 된 것이 아니라 원료 수입선(중국)에 문제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단기간 내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정부에서 짧은 시간 내 석 달 치 물량을 확보했고 기업에서도 나서주고 있다"며 "큰 문제가 될 것이라고는 보이지 않는다"고 전했다.
minju@tf.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