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류 27.3%↑, 13년여 만에 최대
수요 증가에 장기 인플레 가능성
10월 석유류 소비자물가지수가 27.3% 뛰어오르며 전체 물가를 3%대로 끌어올렸다. 지난달 석유류 물가 상승률은 13년3개월 만에 최대폭이다. 공급 부족과 함께 원화약세 현상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앞으로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이 본격화하면 상품이나 서비스 등의 수요 측면에서 물가 상방압력이 더해지며 고물가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
2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유가상승에 영향을 받은 공업제품은 전년동월 대비 4.3% 올랐다. 농산물 물가지수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6.3% 떨어졌지만, 석유류 가격이 더 큰 폭으로 뛰면서 전체 상품 물가지수가 3.2% 올랐다. 석유류 물가상승 기여도는 1.4%포인트로 상품 품목 중 가장 컸다.
10월 유가는 기본적인 공급부족과 함께 환율의 영향을 받았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말 1100원 아래까지 떨어졌다가, 지난달 한때 1200원을 돌파하기도 했다. 달러표시 상품인 유가가 오르면 통상 원화강세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번엔 그렇지 않았다. 미국 테이퍼링 이슈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유가 자체도 오르고, 원화로 가격을 바꾸는 과정에서 한번 더 가격이 뛰었다.
수입 물가도 영향을 받았다. 원화 약세와 함께 글로벌 공급망 차질 문제도 겹치면서 오름세가 커졌다. 수입쇠고기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7.7%, 전월 대비 6.5% 올랐다. 수입승용차도 전월 대비 3.6% 상승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수입승용차와 수입소고기 가격이 오른 것을 보면 환율상승 영향과 함께 공급망 차질로 수입이 원활하지 않은 두 가지 요인이 합쳐져 가격이 올랐다”며 “다만 10월 환율은 상승추세였지만, 11월은 숫자가 비교적 높지 않아 상방요인으로는 언급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앞으로는 수요 측면이 상방압력으로 추가될 가능성이 크다. ‘위드 코로나’로 억눌렸던 내수가 회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조짐이 보인다. 서비스 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3.2% 올랐다. 개인서비스 물가지수는 2.7% 상승했다. 이중 외식 품목은 3.2%가 올랐다. 유가도 해외여행 수요 부활로 더 뛸 수 있다. 홍태화 기자
th5@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