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3 (수)

이슈 동아시아 영토·영해 분쟁

"미 핵탐지 정찰기 남중국해 진입"…특이동향 발견했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만 매체 "미 정찰기와 중국 Y-8 대잠기 조우"

연합뉴스

[중국 싱크탱크 남중국해전략태세감지계획 트위터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홍콩=연합뉴스) 윤고은 특파원 = 미·중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지난달 31일 남중국해에서 미국 군용기와 중국 군용기가 나란히 포착돼 긴장감을 높였다.

특히 양국 군용기가 한때 조우했다는 보도도 나왔다.

1일 중국 싱크탱크 남중국해전략태세감지계획(SCSPI)는 트위터를 통해 전날 미 공군 소속 특수정찰기 'WC-135W' 1대, 통합 감시 및 목표공격 레이더 시스템 등을 탑재한 E-8C 정찰기 1대, 미 해군의 대잠 초계기 P-8A 2대, 전자정찰기 EP-3E 1대 등 5대가 남중국해에 들어왔다고 밝혔다.

SCSPI는 "대기 중 방사성 입자를 포집할 수 있는 핵정찰기 WC-135W가 남중국해에서 활동하는 것은 극히 드물다"며 "WC-135W가 남중국해에서 마지막 작전을 펼친 것은 지난해 1월"이라고 설명했다.

WC-135W는 세계 유일의 방사성 물질 포집 특수정찰기다. 동체 옆에 달린 엔진 형태의 대기 표본수집 장비로 방사성 물질을 탐지한다. 정찰기 내 대기 성분 채집기 내부 온도를 영하 50도 이하로 낮추면 공기 중의 핵물질이 달라붙게 된다.

핵폭발 과정에서 원자가 인공적으로 깨지면서 방출되는 크세논(크세논·Xe-135), 크립톤(Kr-85), 세슘(Cs-137) 등의 방사성 물질을 수집한 후 측정해 핵실험 여부는 물론 농축우라늄, 플루토늄, 수소 폭탄인지를 구분한다.

WC-135W는 2006년 10월 북한이 실시한 1차 지하 핵실험 때부터 한국의 동해 상공에 출동해 방사성 물질 수집 등의 활동을 해왔다. 1986년 소련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참사 당시에도 방사선 누출을 추적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수행한 바 있다.

앞서 WC-135W가 지난해 1월 21일 오키나와 가데나(嘉手納) 주일 미군기지에서 이륙해 동해 상공을 비행했다는 분석이 나온 바 있다.

WC-135W가 이번에 남중국해를 정찰한 것이 사실이라면 주변에서 핵 관련 특이동향이 파악된 게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된다.

대만 상보(上報)는 "Y-8 대잠기가 약 5천m 상공을 비행하던 중 바시해협을 통과하던 미군 E-8C 정찰기와 조우했다"며 "Y-8 대잠기의 항로와 과거 경험으로 볼 때 우리의 동쪽 영공에 침입하려 했으나 E-8C를 피해 남쪽으로 날아간 것"이라고 분석했다.

바시 해협은 대만과 필리핀의 바탄제도 사이에 있는 너비 150km 정도의 해협으로, 동쪽의 태평양과 서쪽의 남중국해를 연결하는 군사적 요충지역이다.

연합뉴스

[대만 국방부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한편 대만 국방부는 중국 군용기 8대가 전날 대만 방공식별구역(ADIZ)에 진입했다고 발표했다.

대만 국방부는 Y-8 대잠기 1대, J-16 전투기 6대, KJ-500 조기경보기 1대가 대만 ADIZ 서남부에 진입했으며, 대만 공군이 군용기를 이륙시켜 대응했다고 밝혔다.

중국은 지난 26일에도 정찰기, 전투기, 공격헬기 등 군용기 7대를 ADIZ 서남부에 진입시키는 등 연일 대만을 압박하고 있다.

pretty@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