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유가와 식료품를 포함한 원자재 가격 급등세로 신흥국 인플레이션(지속적 물가상승) 위험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여기에 미국 중앙은행 격인 연방준비위원회(연준·Fed)의 테이퍼링(자산매입축소)으로 달러선호현상까지 겹쳐 신흥국 물가 오름세를 부채질할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24일 발간한 '해외경제포커스' 보고서를 통해 중국을 제외한 "인도와 브라질, 러시아 등 신흥국 경제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국제유가와 식료품 등 원자재가격 오름세는 신흥국 물가를 끌어올리는 주된 원인 중 하나다. 한은에 따르면 저개발국 가구는 전체 지출항목중 식품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40.4%인 반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는 30% 미만으로 선진국에 비해 국내 식품가격이 글로벌 식료품 가격변동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한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 4월 내놓은 분석에 따르면 대외 식료품가격 변동에 대한 국내 식품가격 탄력성이 고소득 국가는 0.14인데 반해 신흥국은 0.24로, 선진국에 비해 신흥국이 약 1.9배가량 대외 식료품 가격 상승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 오름세를 부채질하는 다른 요인은 미국 연준의 조기 테이퍼링 조짐이다. 경제 주체들이 위험자산을 회피하고 안전자산인 달러 선호현상을 조이면 신흥국 통화가치가 떨어진다. 신흥국은 선진국에 비해 환율이 국내물가에 더 크게 전가되는 탓에 미 연준의 테이퍼링이 신흥국 물가를 밀어올린다는 설명이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선진국은 실효환율이 10% 하락하면 약 0.26%포인트(p)의 추가적인 국내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반면, 신흥국은 같은 조건에서 0.64%포인트 추가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
더 나아가 코로나19(COVID-19)의 충격이 선진국에 비해 신흥국에 더 크게 나타나, 저성장 장기화 우려가가 제기되고 있다. 팬데믹(대유행) 이후 신흥국은 경제활동 참가율 하락, 고용률 하락 등 노동시장 이탈 정도가 선진국에 비해 크게 나타난 데다 학교 임시폐쇄가 지속되고 원격 교육서비스 여건도 미비한 상황이다.
한은은 IMF 보고서를 인용해 선진국의 경우 회복세가 빨라지면서 2022년경 들어 위기 이전 GDP(국내총생산) 추세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하는 반면 신흥국은 잠재GDP와 실질GDP의 차이인 마이너스갭이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최근 주요 투자은행들(IB)도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에 따른 정부의 이동제한조치 강화, 글로벌 생산 차질 등을 반영해 올해 아시아 신흥국 경제성장률 전망을 큰 폭 하향 조정했다. 중간값으로 보면 아세안5(동남아시아국가연합)의 경우 7월 전망 대비 평균 0.4~1.8%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한은 관계자는 "아세안 5개국은 지난해 코로나19 위기 대응 과정에서 재정적자가 크게 확대됨에 따라 재정정책 여력이 크게 축소됐다"며 "정책여력 제한 등으로 인해 이들 국가에서 코로나19 상황이 더딘 속도로 나아질 경우 이들 국가의 경기회복뿐 아니라 글로벌 병목현상 해소까지 더 지연될 수 있으며 보다 긴 시계에서 이들 국가의 성장잠재력도 일부 훼손될 우려가 있다"고 내다봤다.
유효송 기자 valid.song@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