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시다 취임 11일째…9일째에 전화한 스가보다 늦어
중의원 선거 앞두고 韓에 강경 자세 보인 듯
기시다, 징용피해자·위안부 문제 기존 입장 고수할 듯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사진=AFP) |
14일 교도통신은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 이날 양국 정상이 전화 회담을 진행하는 방향으로 조율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문 대통령은 기시다 총리 취임 이후 7번째로 통화하는 외국 정상이 된다.
한일 정상 간 접촉은 지난 6월 영국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마지막이었다. 당시 문 대통령은 스가 요시히데 전(前) 총리와 대면 인사를 나누는 데 그쳤다.
보도대로라면 양국 정상의 전화통화는 기시다 총리 취임 후 11일째에 이뤄진다. 앞서 지난해 스가 전 총리가 취임했을 때는 취임 9일째 문 대통령과 첫 통화를 했다. 다가오는 중의원 선거를 두고 한국에 약한 모습을 보이지 않으려는 기시다 총리의 전략이란 분석이 나온다.
두 정상은 이번 통화에서 양국 현안인 징용 피해자 및 위안부 배상 소송 문제 등을 두고 의견을 나눌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기시다 총리는 징용 피해자 및 위안부 문제에서 일본 측의 기존 입장을 고수하겠다는 뜻을 지속적으로 밝혀온 터라 진통이 예상된다.
기시다 총리는 지난 13일 한일 관계를 묻는 질문에 “나라와 나라의 약속을 지키는 것은 국가 간 관계의 기본”이라며 “일한 관계를 건전한 관계로 되돌리기 위해 옛 한반도 출신 노동자(징용피해자를 의미) 문제를 두고 한국 측이 ‘일본 측이 받아들일 수 있는 해결책’을 조기에 내놓도록 강하게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일본은 줄곧 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가 1965년의 한일청구권 협정 등으로 모두 해결됐으며, 일본 기업의 배상 책임을 인정한 한국 대법원 판결이 국제법 위반이라고 주장해 왔다. 기시다 총리 또한 해당 기조를 유지하겠단 뜻으로 읽힌다.
더욱이 기시다 총리는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5년 12월 한일 간 위안부 합의 당시 외무상으로서 일본 측 협상을 이끌었기 때문에 위안부 문제에도 진전이 있긴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많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