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가야 고분 변천사 집합체 '합천 삼가 고분군' 사적 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분포 범위 통해 가야 내륙 정치체 양상 추정

다양한 토기 발견…가야 문화 변화상 가리켜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합천 삼가 고분군은 봉분 330여 기로 구성된 가야 내륙지역의 무덤 떼다. 1∼7세기 조성된 널무덤, 덧널무덤, 구덩식 돌덧널무덤, 굴식 돌방무덤이 모두 있어 가야 고분의 변천 과정을 알 수 있다. 외형과 부장품 품목의 변화에서 가야의 정치체 흐름도 파악돼 역사·학술 가치가 높다고 평가된다.

문화재청은 가야의 변화상을 가리키는 이 문화재를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 예고한다고 5일 전했다. 한 달간 각계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정 여부를 확정한다. 합천 삼가 고분군은 고분의 입지, 봉분 규모, 시신을 두는 매장시설 수, 부장품 품목 등을 근거로 유력한 정치체가 축조했다고 추정된다. 문화재청 측은 "5세기 중반부터 6세기 중반까지 만들어진 이른바 '삼가식 고분'의 분포 범위를 통해 가야 내륙지역 정치체의 규모와 존재 양상을 짐작할 수 있다"라고 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가식 고분은 봉분 하나에 여러 매장시설을 둔 점이 특징이다. 예컨대 돌덧널을 추가 조성하는 과정에서 봉분을 따로 쌓지 않고 기존 봉분 일부를 파내어 합쳤다. 문화재청 측은 "주로 능선 위쪽으로 봉분을 확장했다"라며 "이런 매장행위의 반복으로 봉분 5m 내외의 다수 고분이 짧은 시차를 두고 중첩되며 확장됐다"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형태의 고분은 영산강 유역에서도 발견된다. 하지만 합천 삼가 고분군과 달리 조성 시기에 따라 구조·규모·부장품이 다르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가 고분군에서는 그간 다양한 토기가 발굴됐다. 고식(古式) 와질토기, 신식(新式) 와질토기, 고식 도질토기, 소가야 양식 토기, 대가야 양식 토기 등이다. 각각 시대별 특징을 품고 있어 가야 문화 변화상을 가리킨다고 평가된다. 와질토기는 기와와 비슷한 색상의 약간 무른 토기다. 기원전 1세기에 고식, 기원후 2세기에 신식이 만들어졌다. 고식 도질토기는 4세기 무렵 영남지역 유적에서 다수 출토됐다. 대표적인 기종으로는 통모양굽다리접시, 화로모양그릇받침, 손잡이달린잔이 등이 꼽힌다. 소가야 양식 토기는 고성·진주 등 경남 서부에서 주로 발견된다. 대가야 양식 토기는 고령·합천 지역에서 많이 나온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