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분 330여기 존재…봉분 하나에 매장시설 여럿 둔 무덤도
합천 삼가 고분군 가-52호분 전경 |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가야 세력 정치체가 생겨나 성장하고 소멸한 일련의 변화상을 보여주는 흔적으로 평가받는 '합천 삼가 고분군'이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된다.
문화재청은 봉분 330여 기가 존재하는 경남 합천 삼가면 양전리 일원의 가야 내륙 지역 무덤떼인 합천 삼가 고분군을 사적으로 지정 예고한다고 5일 밝혔다.
삼가 고분군에는 1∼7세기에 조성한 목관묘(木棺墓·널무덤), 목곽묘(木槨墓·덧널무덤), 수혈식 석곽묘(竪穴式石槨墓·구덩식 돌덧널무덤)·횡혈식 석실묘(橫穴式石室墓·굴식 돌방무덤)가 있어 가야 고분 변천 과정을 알 수 있다.
고분 입지, 봉분 규모, 시신을 두는 매장시설 수, 부장품 구성 등을 보면 유력한 정치체가 축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합천 삼가 고분군 무덤 내부 |
특히 5세기 중반부터 6세기 중반 사이에 만들어진 이른바 '삼가식 고분'은 봉분 하나에 여러 매장시설을 둔 점이 특징이다.
예컨대 석곽(石槨)을 조성할 때 따로 봉분을 쌓지 않고 기존 봉분 일부를 파낸 뒤 합치는 방식을 사용했다. 다만 기존 석곽을 파괴하지는 않았고, 주로 능선 위쪽으로 봉분을 확장했다. 무덤 주변 도랑인 주구(周溝)가 묘역의 경계 역할을 했다.
이처럼 봉분 하나에 여러 매장시설을 설치한 고분은 영산강 유역에도 있다. 하지만 영산강 유역 무덤은 조성 시기에 따라 구조·규모·부장품이 다르지만, 삼가 고분군 무덤은 이러한 차이가 거의 없다고 알려졌다.
합천 삼가 고분군에서 나온 토기 |
삼가 고분군은 무덤에서 나오는 토기도 고식(古式) 와질토기, 신식(新式) 와질토기, 고식 도질토기, 소가야 양식 토기, 대가야 양식 토기 등 시대별 특징이 나타나 가야 문화 변화상이 확인된다.
와질토기는 기와와 비슷한 색상의 약간 무른 토기로, 고식은 기원전 1세기에 출현했고 신식은 기원후 2세기에 만들어졌다. 고식 도질토기는 4세기 무렵 영남 지역 유적에서 많이 출토됐다. 소가야 양식 토기는 고성·진주 등 경남 서부에 주로 분포하고, 대가야 양식 토기는 고령·합천 지역에서 많이 나온다.
사적 지정 조사보고서에서 전문가들은 "삼가 고분군은 경남 가야 고분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크고, 가야와 신라의 역사 변동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라고 평가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삼가식 고분 축조 방식 등을 보면 가야 내륙 지역 정치체의 변천이 잘 드러난다"며 "소가야·대가야·아라가야·신라 토기가 다양하게 출토되고, 가야와 신라 양식이 융합된 토기도 생산됐다"고 말했다.
문화재청은 예고 기간 30일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합천 삼가 고분군의 사적 지정 여부를 확정한다.
합천 삼가 고분군 |
psh59@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