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칠장사 원통전 |
경기도는 최근 경기도문화재위원회를 열어 칠장사 원통전을 포함해, 윤승길 초상 및 함 일괄, 용인 부모은중경, 양평 상원사 동종, 묘법연화경 권1~7, 용인 묘법연화경 권5∼7 등 6건을 문화재로 결정했다고 5일 밝혔다.
안성 칠장사 원통전은 경기도에 많이 남아있지 않은 조선 시대 불전 형식으로 내부 공간을 반자(방이나 마루 천장을 편평하게 한 것)로 구성하고 칸마다 다양한 단청 문양을 넣어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1612년 광해군이 책훈한 '익사공신'(임해군 역모 사건에 공을 세운) 윤승길 초상 및 함 일괄은 인조반정으로 대부분 익사공신이 삭훈(지위 박탈)된 상황에서도 드물게 남았다.
양평 상원사 동종 |
용인 부모은중경(부모의 은혜에 보답하도록 가르친 불교 경전)은 왕실에서 간행된 판본(명빈김씨본)을 모본으로 1591년(선조 24)에 간행됐다.
임진왜란 이전의 목판본인 점, 용인 광교산 화엄굴에서 간행된 불서로 현존하는 부모은중경 중 희귀한 판본이라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고려 전반기(11∼12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양평 상원사 동종은 한국과 일본의 혼합양식을 보여주는 범종(절에서 시각을 알리기 위해 치는 종)이다.
제작 방식에서 한국 장인의 일본 교류 및 영향을 추정할 수 있다.
개인 소장 중인 묘법연화경 권1~7은 현존 목판의 결판이 포함된 완질본으로 16∼17세기 불교경전인 묘법연화경을 인쇄한 것으로 알려졌다.
2종의 변상도(불교 경전 내용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그림)가 남아있어 역사, 학술, 불교미술 분야에서 활용 가치가 있다고 경기도는 전했다.
용인 묘법연화경 권5∼7은 3권 1책으로 완질본은 아니지만, 현재 전해지는 판본이 많지 않은 용인시 소재 서봉사에서 간인됐다는 점에서 문화재 지정 가치를 인정받았다.
you@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