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이슈 물가와 GDP

8월 소비자물가 2.6%↑…식품값·집세·교통비 줄줄이 올라(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제유가·곡물가 영향…가공식품 가격도 줄줄이 올라

농축수산물도 가격 3.9% 오르며 상승세 견인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손선희 기자]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작년 같은 기간보다 2.6% 올라 5개월 연속 2%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8.29(2015=100)로, 전년 대비 2.6%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4월 2.3%를 기록해 올해 들어 처음으로 정부의 '관리 목표'인 2%를 넘어섰고, 이후 5월 2.6%, 6월 2.4%, 7월 2.6%를 나타낸 바 있다. 물가가 5개월 연속 5%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 2017년(1~5월) 이후 4년여만에 처음이다.

공업제품, 서비스, 농축수산물, 전기·수도·가스 관련 가격이 모두 올라 상승세를 견인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와 개인서비스, 농축산물 가격 오름세가 지속되면서 2.6%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생활물가는 작년보다 3.4%, 신선식품은 4.1% 급등했다. 특히 식품가운데 신선과실이 27.3% 뛰었고, 신선어개가 1.2% 상승했다. 신선채소는 11.6% 하락했다.

품목별로 상품은 전년 대비 3.9%, 농축수산물은 7.8%, 공업제품은 3.2% 각각 상승했다. 공업제품 가격 상승률은 지난 2012년 5월(3.5%) 이후 최대폭이다. 이에 대해 어 심의관은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석유류 가격 상승의 영향이 가장 컸다"면서 "국제 원자재, 곡물가격 상승에 따라 원가부담이 상승하며 가공식품 등 출고가 인상에 기인한다"고 부연했다.

서비스는 1.7% 올랐는데 집세가 1.6%, 개인서비스가 2.7% 올랐다. 공공서비스는 반대로 0.7% 하락했다.

주요 등락 품목을 보면 돼지고기 11.0%, 달걀 54.6%. 국산쇠고기 7.5%, 수박 38.1%, 시금치 35.5% 수준으로 작년보다 가격이 올랐다. 주요 공업제품 가격 상승률은 휘발유 20.8%, 경유 23.5%, 자동차용LPG 25.3%다. 전체 집세는 1.6% 올랐으며 전세와 월세는 각각 2.2%, 0.9% 상승했다. 집세는 2017년 8월(1.6%) 이후, 전세는 2018년 1월(2.2%), 월세는 2014년 7월(0.9%) 이후 최고 수준이다.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1.8% 올라 3월(1.0%), 4월(1.4%), 5월(1.5%), 6월(1.5%), 7월(1.8%)에 이어 6개월째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다. 8월 근원물가 자체는 이는 지난 2017년 8월(1.8%) 이후 4년 만의 최고치다.

어 심의관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달에 이어 2% 중반을 상회하며 예상보다 상승 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며 "경기가 회복하며 수요 측면 상승 압력이 확대된 가운데 농축수산물과 국제유가 등 공급 측면 상승 요인이 예상보다 컸다"고 설명했다.

9월 물가는 추가 상승 가능성이 클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봤다. 어 심의관은 "가을장마가 길어지는 날씨 요인도 있고 명절 요인도 있고 기대인플레이션도 지속 상승하고 있다"면서 "그런 측면에서 상방요인이 많다"고 분석했다. 이어 "다만 전월 기저효과가 약화되고, 농축수산물도 기대보다 느리긴 하지만 (상승세가)둔화 될 것이란 생각을 갖고 있다"면서 "상방요인이 더 큰 것으로 보이나 정부의 성수품 공급 등으로 예상 못할 정도로 (상승폭이) 커지진 않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이달부터 지급되는 재난지원금도 물가에 영향을 미칠 것을 전망했다. 그는 "업종별로 온도차 있다"면서 "대면 서비스는 여전히 회복 어려운 수준이기 때문에, 어떤 용도로 주로 사용되느냐에 따라 물가자극 효과가 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한국은행은 지난달 26일 올해 소비자물가가 상반기 1.8%, 하반기 2.4% 오르며 연간 2.1%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물가 상승의 배경으로는 농축수산물, 국제유가 오름세와 수요측 상승압력을 꼽았다.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