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탄소중립으로 가려면?…'소형 원전'에 주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정부가 2050년 탄소배출을 제로로 낮추는 시나리오를 내놓자 실현 가능성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태양광과 풍력을 대대적으로 늘리는 대신 원자력은 크게 줄인다는 계획을 놓고, 재생에너지와 원전 양측의 대립이 다시 불거지고 있는데, 핵심 갈등과 향후 전망을 장세만 환경 전문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전남 해남의 농경지에 펼쳐진 99MW급 국내 최대 규모 태양광 발전소, 2050년에는 이런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가 전체 전기 생산의 최대 70%를 담당한다는 게 정부의 탄소 중립 시나리오입니다.

국제에너지기구조차 2050년 탄소 중립을 위해 전 세계 전기 생산의 88%가 재생에너지 몫이라고 할 만큼, 태양광과 풍력의 확대는 거스를 수 없는 현실입니다.

변화가 엄청난 만큼 문제도 큽니다.

전력망의 최대 관건은 실시간 전기 수요량과 공급량을 맞추는 건데, 태양광이나 풍력은 햇빛이나 풍속 등에 따라 발전량이 들쭉날쭉하다는 점입니다.

때문에 이런 변동성을 보완할 추가 발전원들이 필요한데 원전은 보조적 역할이 어렵습니다.

원자력 발전은 한 번 가동을 시작하는데 사흘이 걸리는 데다 사고 위험 때문에 출력 조정이 어려워 시시각각 변하는 전기 수급 변동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겁니다.

[석광훈/에너지전환포럼 전문위원 : (재생에너지의) 변동성 때문에 유연성 자원이 많이 필요해지고, 반면에 경직성 전원인 원전은 전력망 안정성에 위협을 주는 문제를 겪게 됩니다.]

그래서 현재 개발 중인 SMR 등 차세대 원전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크기도 1/10 이하로 줄여 사고 시 전력망에 충격이 줄고, 핵분열 시 안전성을 높여 출력 조정이 쉽다는 건데, 기술 개발은 시작 단계입니다.

[주한규/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 : 지금 물로 냉각하는 원자로보다 훨씬 더 출력 가변이 용이한 원자로를 개발해서 (재생에너지와) 상생하는 방향으로 갈 수가 있다 이겁니다.]

양측의 이해 조정을 위해서는 탄소중립위원회 역할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민간위원 구성부터 원자력계 인사를 배제하는 등 편향성 논란을 자초했다는 지적입니다.

탄소중립위는 앞으로 한 달간 시민 500명을 뽑아 재생에너지와 원전 등 탄소중립 시나리오 전반에 걸쳐 의견수렴 과정을 거치기로 했습니다.

(영상편집 : 원형희)
장세만 기자(jang@sbs.co.kr)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