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상규명조사위, 민간 사망자 167명으로 잠정 집계
5·18 민주화운동 당시 광주 금남로에 모인 시민 |
(광주=연합뉴스) 천정인 기자 = 41년이 지나도록 확정되지 않은 5·18 민주화운동 당시 숨진 희생자들의 규모와 사망 경위 등을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파악하고 있다.
12일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발간한 2021년 상반기 활동보고서에 따르면 5·18 민주화운동 기간(1980년 5월 18일∼5월 27일) 사망자에 대한 공식 발표는 시기와 기관에 따라 집계가 들쑥날쑥했다.
1980년 5월 31일 계엄사는 총 170명(민간 144명, 군 22명, 경찰 4명)이 숨졌다고 발표했지만 같은 해 광주지검 검시 조서상으로는 165명(민간 161명, 경찰 4명)이 숨진 것으로 나타난다.
1985년 6월 국방부의 국회 답변 자료엔 191명(민간 164명, 군 23명, 경찰 4명)이 숨졌다고 보고했고, 1988년 광주시가 국회 청문회에 제출한 자료에는 193명(민간 166명, 군 23명, 경찰 4명)의 사망자 숫자를 보고하는 등 혼란이 불가피했다.
사망자 기록을 재검증·상호 검증 등을 통해 다시 확인하기 시작한 조사위는 지난 6월 기준으로 5·18 기간 사망자는 모두 177명으로 파악했다.
이 가운데 4명은 경찰 신분이고, 2명은 5·18 관련자이지만 사망 시기가 5·18 이후인 이른바 '상이 후 사망자'로 조사됐다.
나머지 1명은 5·18과 관련 없는 교통사고 피해자, 3명은 5·18과 관련 없는 살인 사건 피해자로 나타났다.
결국 이들을 제외하면 5·18 기간 민간인 피해자는 모두 167명으로 조사위는 잠정 집계했다.
이 가운데 164명은 현재 국립 5·18 민주묘지에 안장돼 있는데 4구는 신원을 알 수 없는 무명 열사로 남아있다.
당초 무명 열사는 5구였지만 지난 6월 조사위는 1구의 신원을 고(故) 신동남 씨로 확인했다.
묘지에 안장되지 못한 3명의 희생자 가운데 1명은 목포에서 사망한 사람으로 당시 연고자를 찾지 못해 신원을 알지 못한 채 매장돼 현재는 유해의 소재를 알 수 없는 상태다.
나머지 2명은 방위병 출신으로 당초 군 관련 사망자로 분류되면서 이들을 제외한 165명이 민간인 사망자 규모 자주 인용됐다.
그러나 조사위는 이들의 사망 경위 등을 종합하면 민간인 피해자로 분류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판단하고 민간인 피해자에 이들을 포함했다.
다만 여전히 미궁에 빠진 행방불명자의 소재 및 신원 등이 확인될 경우 희생자 규모는 더 늘어날 수 있다.
조사위는 잠정 집계된 사망자 167명 개개인에 초점을 맞춰 조사를 진행, 사망 일자·장소·경위를 분명히 밝히고 이들을 사망케 한 구체적인 사건을 특정할 계획이다.
조사위 관계자는 "구체적인 결과물은 사망자별로 사망 경위를 밝힌 개별 보고서 형태로 제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iny@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