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식용 금지 공론화 주장에 SNS 홍보전도…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9일 오전 경기도 여주 반려동물테마파크에서 열린 '반려동물테마파크 방문 동물보호정책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재명 경기지사는 9일 경기도 여주의 반려동물 테마파크 조성 현장을 찾았다. 이 지사는 이 자리에서 “제가 성남시장 취임할 당시만 해도 반려동물 가구가 10% 정도였는데, 지금은 30%를 넘어설 가능성이 있는 것 같다”며 “개식용 금지, 반려동물 매매의 원칙적 금지를 공론화할 때가 되지 않았나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캠프 비서실장인 박홍근 의원은 오후 국회에서 동물보호법 개정 관련 토론회를 열었다.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반려동물 정책을 준비 중이다. 지난달엔 망원한강공원에서 열린 ‘런댕이 산책 챌린지’에 참석해 반려인들과 함께 개를 산책시켰다. 또 블로그에 “이제는 동물보호법을 넘어 동물복지법으로 확대해야 한다. 반려동물을 죽이거나 다치게 하면 민형사상 책임이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세균 전 국무총리는 13일 동물복지 정책 간담회를 열어 반려동물 보험 가입 의무화, 예방접종·중성화 수술 등 기초 의료보장, 유기동물 입양비 지원 등을 담은 '펫보험' 도입 정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지난 8일까지 휴가를 보내는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예비후보가 6일 반려견의 이름을 딴 인스타그램 계정 토리스타그램에 반려견ㆍ반려묘와 시간을 보내는 사진을 공개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야권 후보들은 SNS를 통한 감성 홍보에 치중하고 있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유기견 센터에서 입양한 반려견 ‘토리’의 이름을 딴 ‘토리스타그램’(토리+인스타그램) 계정을 운영하는 게 대표적이다. 윤 전 총장은 이 계정을 통해 함께 키우는 유기묘 출신 나비 등 다른 반려동물과의 친근감도 함께 과시하고 있다. 최재형 전 감사원장도 SNS 계정을 통해 반려묘 ‘민들레’와 함께하는 모습을 자주 노출하고 있다.
━
1448만 반려인. 대선 주요 변수될까
국내 반려동물 관련 통계.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
대선 주자들의 전례없는 전방위 표심 구애작전의 배경에는 큰 폭으로 증가한 반려인 숫자가 있다. KB경영연구소가 ‘2021 한국 반려동물보고서’에서 추산한 국내 반려인 숫자는 1448만명(604만 가구) 수준이다. 국내 전체 인구(5182만 명)의 27.9%에 달한다. 스윙보터 지역인 수도권에 반려인 인구 54.1%가 몰린 것도 특징이다. 전체 인구의 수도권 비중(50.2%)에 비해 쏠림 현상이 더 심하다. “반려동물을 자기 피붙이처럼 생각하는 사람이 1500만 명에 달했다는 건 어떻게 보면 승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슈”(장성호 건국대 미래지식교육원장)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 때문에 각 대선 캠프에서는 인터넷 반려동물 카페의 여론 동향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강아지를 사랑하는 모임(강사모)', '고양이라서 다행이야(고다)' 같은 반려동물 카페는 회원수가 각각 190만, 68만 명에 달한다. 가장 규모가 큰 강사모에선 정치글을 금지하는 등의 규정 때문에 특정 후보 지지세가 아직은 강하진 않다. 다만 과거 ‘맘카페’가 문재인 대통령의 중요 지지기반이 됐던 것처럼, 여론 쏠림 현상이 나타날 경우엔 위력이 상당할 거란 관측이 나온다.
SNS를 통한 반려인 표심 호소가 일반 유권자들을 향한 이미지 정치에도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박성민 정치컨설턴트는 “서민과 같은 사람이라는 걸 강조하려면 요즘은 반려견, 반려묘를 통한 SNS 홍보가 효과가 좋다”면서도 “경계를 못지키고 지나치게 가벼우면 역효과가 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는 “공약과 제대로 된 정책으로 진정성을 보여줘야 한다. '동물은 이미지 정도 좋게 보이면 괜찮은 영역'이라고 인식하는 건 착각”이라고 말했다.
한영익 기자 hanyi@joongang.co.kr, 장서윤 인턴기자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