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5 (토)

김기정 “남북 통신선 복원후 2주가 중요…미국이 더 움직여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경향신문

김기정 국가안보전략연구원장이 2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미국평화연구소가 주관한 한반도 관련 세미나에서 발언하고 있다. 워싱턴|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기정 국가안보전략연구원장이 남북 통신연락선 복원과 관련해 “북한이 대화할 준비가 됐다는 중요한 상징”이라면서 “향후 2주가 매우 중요하다”고 28일(현지시간) 밝혔다. 특히 미국이 좀 더 분명하게 북에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며 조 바이든 정부의 후속 조치를 촉구했다.

김 원장은 이날 미국 워싱턴에서 싱크탱크인 미국평화연구소(USIP)와 한반도 관련 세미나를 한 후 가진 특파원 간담회에서 남북 통신연락선 복원으로 형성된 해빙 분위기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미국이 좀 더 움직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미국이 대화 의지가 있다고 말만 할 것이 아니라 좀 더 움직여야 한다”면서 “아무런 조치없이 2주를 넘기게 되면 북한이 우리가 예상하지 못한 방식으로 도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특히 북한이 강한 거부감을 보여온 한미연합군사훈련이 다음 달 예정된 만큼 앞으로 2주간 북한의 도발을 막고 대화 테이블로 유인할 수 있는 미국의 메시지 발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연합훈련을 진행하더라도 미국이 좀 더 믿을만한 태도를 보여준다면 북한이 도발을 안 하지 않겠느냐”면서 “북한이 도발하면 통신선 복원, 친서 교환 다 소용없이 경색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 북한이 대단히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며 이 시기를 놓치면 원치 않는 방향으로 북한이 중국에 경사할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예상했다.

이를 위해 미국이 대화 의지가 있다는 고위 당국자의 메시지가 중요하고 대화에 복귀하면 대북 제재 부분 완화 등 인도주의적 지원 논의가 가능하다는 명시적 메시지가 나오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한미 간 완전한 조율을 전제로 대북 경제적 지원과 함께 북한의 체제 보장과 관련한 북미 연락사무소 설치 등을 한미가 협의할 수 있는 의제로 제시했다.

워싱턴|김재중 특파원 hermes@kyunghyang.com

▶ [뉴스레터] 식생활 정보, 끼니로그에서 받아보세요!
▶ 경향신문 프리미엄 유료 콘텐츠가 한 달간 무료~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