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재재단 발굴…작은 돌 위에 50∼120㎝ 커다란 돌 올려
양산읍성 기초부 나온 발굴조사 현장 모습 |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일제강점기에 신작로를 내는 과정에서 심하게 훼손된 양산읍성의 기초부가 발굴조사를 통해 처음 확인됐다.
한국문화재재단은 경남 양산시 중부동 268번지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해 길이 14.36m·너비 2.35∼2.7m·높이 0.64m 규모의 읍성 기초부를 발견했다고 19일 밝혔다.
양산읍성은 조선 성종 23년인 1492년에 쌓았고, 조선시대 후기까지 동·서·북문과 여러 건물이 남아 있었다. 일제가 1913년 제작한 양산 지적도에는 둘레가 약 1.5㎞인 읍성이 표시돼 있다.
하지만 대부분 허물어져 현재는 6∼7곳에 흔적이 부분적으로 존재한다고 알려졌다. 이번 조사 지점에서 북동쪽으로 약 120m 떨어진 중부동 181번지에 길이 15m, 높이 2m의 성벽이 있다.
한국문화재재단 관계자는 "양산읍성의 성벽은 일부 볼 수 있었지만, 읍성 아래 기초부 모습이 드러나기는 처음"이라고 강조했다.
조사를 통해 확인한 성벽 기초부는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조성했다. 그중 조사 부지의 서쪽에서는 길이 10∼30㎝인 할석(割石, 깬돌)을 깔아 지반을 견고하게 만들고, 그 위에 길이 50∼120㎝인 커다란 돌을 두 줄로 올렸다.
양산읍성 기초부 지대석 |
이에 대해 한국문화재재단 관계자는 "성벽 기단에 놓는 지대석(地臺石)으로 추정된다"며 "지대석 부분은 길이 5.8m, 너비 1.2m 정도 된다"고 말했다.
이어 "부지 동쪽에서는 성벽 내벽 쪽에 채운 길이 50㎝ 정도의 할석이 2∼3단 정도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유물은 조선시대에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길이 10㎝ 내외의 기와 조각이 출토됐다. 기와 중에는 '전'(田) 자를 새긴 유물도 있었다.
전(田) 자가 있는 기와 |
한국문화재재단 관계자는 "이번 조사를 통해 일제강점기 지적도의 양산읍성 자리에 기초부가 남아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며 "다만 문화재청이 제공하는 '문화유적분포지도'와는 읍성 위치가 조금 달랐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조사 결과가 양산읍성의 전체 위치를 찾고, 역사적 사실을 고증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1913년 지적도 |
psh59@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