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아직도 끝나지 않은 독도 주민숙소 복구…올 여름 무사히 넘길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지난해 9월 제9호 태풍 ‘마이삭’과 제10호 태풍 ‘하이선’으로 침수 피해를 입은 독도 주민숙소 1층 발전기실. 서울신문 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연이은 태풍으로 큰 피해를 입은 독도 주민숙소에 대한 복구공사가 지연되면서 추가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14일 경북 울릉군 독도관리사무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제9호 태풍 ‘마이삭’과 제10호 태풍 ‘하이선’의 피해를 본 독도 주민숙소 복구 공사를 추진하고 있다. 총사업비 10억 4700여만원이 투입된다.

당시 잇따른 태풍으로 크레인을 비롯해 50㎾ 발전기 3기, 실내외 가스 배관 등이 침수 또는 유실되는 피해를 입었다.

애초 복구공사는 지난 3월 착공, 6월 완공할 예정이었으나 현재 공정률이 40% 정도에 그치고 있다.

이 때문에 복구공사는 빨라야 10월쯤 끝날 것으로 예상되며, 이마저도 설계 변경 등 다른 요인이 있을 경우 공기는 늘어날 수 밖에 없다.

이로 인해 독도 유일 주민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영원한 독도인’으로 살다 간 김성도(1940~2018)씨의 미망인 김신렬(83)씨가 8개월여째 주민숙소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씨는 지난해 10월 혹한을 앞두고 독도에서 뭍으로 나와 울진 큰 딸 집에서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씨의 둘째 딸 진희씨는 “어머니께서 주민숙소 복구 공사가 하루 빨리 끝나길 학수고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여름철 폭우와 태풍이 닥칠 경우 추민숙소가 추가로 침수 또는 유실될 위험에 처해 있다.

독도관리사무소 관계자는 “독도는 육지와 멀리 떨어진 지리적 여건과 나쁜 기상 여건 등으로 공사에 많은 시간이 걸릴 수 밖에 없다”면서 “피해 최소화를 위해 복구 공사를 최대한 서두르겠다”고 말했다.

한편 해양수산부 소유인 주민숙소는 2011년 30억원을 들여 연면적 373.14㎡에 4층(1층 발전기와 창고, 2층 독도관리사무소 직원 숙소 및 사무실, 3층 주민거주 공간, 4층 해수 담수화 설비) 규모로 건립됐으며, 2018~2019년엔 15억원을 들여 리모델링했다. 울릉군이 위탁받아 관리한다.

울릉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