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이주노동자에 대한 건강보험 제도를 보완하기로 했습니다. 그러자 "국민 세금으로 외국인에게 특혜를 준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차별의 시선이 가짜뉴스로 만들어져서 퍼지고 있는 겁니다. 왜 잘못된 주장인지 팩트체크팀이 따져봤습니다.
최재원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12월 경기도의 한 비닐하우스 숙소에서 캄보디아 이주노동자가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평소 밥 먹다 피를 토하는 간질환 증상이 있었지만, 제때 치료받지 못했습니다.
[노길준/고용노동부 국제협력관 (지난 3월 2일) :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권 접근 확대를 위해서 입국 후 즉시 지역가입에 적용하도록…]
반대한다는 청와대 청원입니다.
"국민 세금으로 외국인에게 특혜 주는 것"이고, 이 특혜를 누리려고 "난민이 몰려들 것"이라는 겁니다.
경기도의 한 농장에서 일하고 있는 캄보디아 노동자를 만났습니다.
건강보험도 없이 일하다 2년 전에야 가입했습니다. 보험료도 꼬박꼬박 냅니다.
[이주노동자 A씨 : (일한 지) 지금 9년 됐어요. (월급) 180만원 나왔어요. 건강보험은 한 달에 13만원씩 (내고 있어요.)]
그러다보니 입국하고 반년 동안은 보험이 없습니다. 정부의 이번 대책은 이 공백 기간을 없앤 것뿐입니다.
외국인이 건강보험 재정, 적자 만든다는 것도 잘못된 주장입니다.
적자 내는건 내국인이지, 외국인은 오히려 흑자입니다.
외국인이 낸 보험료, 매년 2천억 원씩 남았고, 의무 가입으로 보험 든 외국인이 더 늘어난 2019년엔 3천 7백억 원, 더 많이 남았습니다.
이주노동자들은 건강보험이 있어도 병원에 가기 어렵다고 말합니다.
[이주노동자 A씨 : (오전) 6시부터 (오후) 7시까지 (일하고) 끝나요. 한 달에 2번 쉬어요. 병원에 갈 시간 없어요. 머리 아프면요 그냥 집에 약 먹고 있어요. 병원 안 가요.]
그런데도 이들이 우리 세금으로 특혜를 본다는 잘못된 주장이 반복됩니다.
[김달성/목사(포천이주노동자센터 대표) : 이주노동자 없이는 농사, 농업 안 돌아갑니다. 우리 세금을 퍼준다 이런 식으로 인식하는 것은 상당히 문제가 있다…]
지난해 인권위 조사 결과 이주민 70%가 한국에 인종차별이 존재한다고 답했습니다.
인권위는 "인간의 보편적 권리가 이주민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생각이 인종차별"이라고 규정하기도 했습니다.
팩트체크였습니다.
(영상디자인 : 이정회 / 영상그래픽 : 한영주)
※JTBC 팩트체크는 국내 유일 국제팩트체킹네트워크(IFCN) 인증사입니다.
최재원 기자 , 공영수, 이경, 임인수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정부가 이주노동자에 대한 건강보험 제도를 보완하기로 했습니다. 그러자 "국민 세금으로 외국인에게 특혜를 준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차별의 시선이 가짜뉴스로 만들어져서 퍼지고 있는 겁니다. 왜 잘못된 주장인지 팩트체크팀이 따져봤습니다.
최재원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12월 경기도의 한 비닐하우스 숙소에서 캄보디아 이주노동자가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평소 밥 먹다 피를 토하는 간질환 증상이 있었지만, 제때 치료받지 못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농어촌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가 국내에 들어오면 곧바로 건강보험 가입하게 하겠다고 대책을 내놨습니다.
[노길준/고용노동부 국제협력관 (지난 3월 2일) :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권 접근 확대를 위해서 입국 후 즉시 지역가입에 적용하도록…]
반대한다는 청와대 청원입니다.
"국민 세금으로 외국인에게 특혜 주는 것"이고, 이 특혜를 누리려고 "난민이 몰려들 것"이라는 겁니다.
건강보험 재정이 파탄날거란 얘기도 있습니다. 물론, 사실이 아닙니다.
경기도의 한 농장에서 일하고 있는 캄보디아 노동자를 만났습니다.
건강보험도 없이 일하다 2년 전에야 가입했습니다. 보험료도 꼬박꼬박 냅니다.
[이주노동자 A씨 : (일한 지) 지금 9년 됐어요. (월급) 180만원 나왔어요. 건강보험은 한 달에 13만원씩 (내고 있어요.)]
농어촌 이주노동자, 국내에 머문 지 6개월 지나면 의무적으로 건강보험 가입하도록 2년 전 법이 바뀌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입국하고 반년 동안은 보험이 없습니다. 정부의 이번 대책은 이 공백 기간을 없앤 것뿐입니다.
외국인이 건강보험 재정, 적자 만든다는 것도 잘못된 주장입니다.
적자 내는건 내국인이지, 외국인은 오히려 흑자입니다.
외국인은 받는 돈보다 내는 돈이 더 많다는 겁니다.
외국인이 낸 보험료, 매년 2천억 원씩 남았고, 의무 가입으로 보험 든 외국인이 더 늘어난 2019년엔 3천 7백억 원, 더 많이 남았습니다.
이주노동자들은 건강보험이 있어도 병원에 가기 어렵다고 말합니다.
[이주노동자 A씨 : (오전) 6시부터 (오후) 7시까지 (일하고) 끝나요. 한 달에 2번 쉬어요. 병원에 갈 시간 없어요. 머리 아프면요 그냥 집에 약 먹고 있어요. 병원 안 가요.]
그런데도 이들이 우리 세금으로 특혜를 본다는 잘못된 주장이 반복됩니다.
[김달성/목사(포천이주노동자센터 대표) : 이주노동자 없이는 농사, 농업 안 돌아갑니다. 우리 세금을 퍼준다 이런 식으로 인식하는 것은 상당히 문제가 있다…]
지난해 인권위 조사 결과 이주민 70%가 한국에 인종차별이 존재한다고 답했습니다.
인권위는 "인간의 보편적 권리가 이주민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생각이 인종차별"이라고 규정하기도 했습니다.
팩트체크였습니다.
(영상디자인 : 이정회 / 영상그래픽 : 한영주)
※JTBC 팩트체크는 국내 유일 국제팩트체킹네트워크(IFCN) 인증사입니다.
최재원 기자 , 공영수, 이경, 임인수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