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9 (화)

이슈 물가와 GDP

이주열 한은 총재 "연내 금리인상" 첫 공식화...물가·가계빚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유효송 기자] [(종합)]

"현재의 완화적 통화정책을 연내 적절한 시점부터 질서있게 정상화하겠다. 지금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한 두 번 인상한다고 해도 여전히 통화정책은 완화적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연내 금리인상을 처음으로 공식화했다. 인플레이션(지속적 물가상승)과 가계빚 급증, 자산시장 과열을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머니투데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제공=한국은행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주열 "금리 한두번 올려도 완화적"…추가 인상 가능성 열어둬

이 총재는 이날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기자간담회에서 '연내'라는 시점을 구체적으로 못 박으며 올해 중 기준금리 인상 의지를 직접적으로 밝혔다. 그는 "연내 늦지 않은 시점에 통화정책을 질서있게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며 "경기 회복세에 맞춰 이례적으로 완화적이었던 통화정책을 정상화시키는 것은 당연한 과정"이라고 말했다.

두번 이상의 금리인상 가능성도 시사했다. 이 총재는 "지금의 통화정책이 상당히 완화적"이라며 "기준금리를 한 두 번 올려도 통화정책 기조는 완화적 수준"이라고 했다. 이어 "인상 시점과 횟수는 결국 물가는 물론 금융불균형 진행 정도, 코로나19(COVID-19) 변이 바이러스 확산 등 경제 상황이 어떻게 전개되느냐에 달려 있다"면서도 "늦지 않은 시점에 정상화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의 임기가 만료되는 내년 3월 이전에 두 차례 이상의 금리인상이 단행될 수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의는 오는 7월, 8월, 10월, 11월 네 차례 남아있다. 내년에는 1월과 2월에 예정돼 있다. 한은은 2011년에는 1월, 3월, 6월 세 차례에 걸쳐 0.25%포인트씩 금리를 인상한 바 있다.

머니투데이

물가 추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초래 요인들 잠재"

이 총재가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거듭 강조하는 배경에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깔려있다. 지난달 전년동월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년 1개월 만에 최고 수준인 2.6%로 치솟으면서 한은의 물가안정 목표인 2%를 이미 뛰어넘었다. 식료품과 에너지 부문을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도 지난해 4월 0.1%에서 지난달 1.2%까지 올랐다. 특히 공급 요인과 정부 정책 영향을 제외해 근원물가보다 기조적 물가 흐름을 더 잘 반영하는 관리제외 근원물가 상승률은 지난달 1.7%로 근원물가 상승률을 크게 웃돌았다.

앞으로 1년 동안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이달 2.3%로 0.1포인트 상승했다. 2019년 3월(2.3%) 후 2년여 만의 최고치다. 한은은 이날 발표한 물가안정 목표 운영상황점검 보고서에서 경기회복이 빨라지면서 상황에 따라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기존에 전망한 전망치(1.8%)를 초과할 가능성도 제기했다. 기대인플레이션이 상승하면서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진다는 점도 지적했다. 이 총재는 "경기 회복세가 빨라지면서 앞으로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 상승 압력은 지금보다 점점 더 높아질 것"이라며 "높은 물가상승률이 상당기간 지속되면 경제주체들의 인플레이션 기대가 높아지면서 추가적인 물가상승을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정부·여당이 추진하는 30조원대 규모의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역시 물가 상승세를 부추길 수 있는 요소다. 2차 추경 규모는 우리나라 GDP(국내총생산)의 1.6% 규모에 달한다. 신용카드 캐시백과 재난지원금, 지역화폐 추가 발행 등이 현실화되면 소비 진작 효과는 물론 물가를 자극할 수밖에 없다. 이 총재는 이같은 정부의 '돈풀기'와 한은의 '돈줄 죄기'의 엇박자를 지적하자 "통화·재정정책의 조화적 운영이 반드시 똑같은 방향과 비슷한 강도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며 "통화정책은 거시정책이기 때문에 저금리 장기화의 부작용을 제거하고 재정정책은 취약부문에 지원을 집중하는 것은 보완적인 정책 조합"이라고 해명했다.

눈덩이처럼 불어난 가계부채도 한은이 연내 금리인상을 계획하는 이유다. 올 1분기 말 가계부채는 1년 전보다 153조6000억(9.5%)나 급증한 1765조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명목 GDP 대비 민간부채 비율은 216.3%, 가계신용은 104.7% 수준이다. 이 총재는 "최근 자산시장으로 자금 쏠림이 뚜렷해졌고 가계부채도 여전히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통화정책을 금융불균형에 유의해서 조정할 필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 "금융불균형에 대한 대응도 소홀히 하면 반드시 시간을 두고 중기적으로 경기와 물가도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유효송 기자 valid.song@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