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5G 이어 6G 글로벌 선점 나선다”...과기부, 2025년까지 2000억원 투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미 정상회담 후속 조치로 ‘6세대(6G) 전략회의’ 진행

초성능·초공간·초정밀 등 6세대 핵심기술‧표준 선점 나서

국제표준화기구 의장직 진출로 국제표준 논의 주도 추진

인더뉴스

6세대 통해 달성되는 미래상. 이미지ㅣ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가 오는 20205년까지 초성능, 초공간, 초정밀 등 6세대(6G) 핵심 기술과 표준 선점을 위해 2200억원을 투자합니다.

과기부는 23일 한·미 정상회담 후속으로 다가올 6G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민‧관 합동 ‘6세대(6G) 전략회의’를 열고 ‘6세대 연구개발 실행계획’을 수립했습니다.

과기부는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은 미래 신흥 기술인 6세대(6G)에 대한 미래지향적 동반관계를 구축하고 공동연구 등 협력을 확대키로 했다”며 “향후 미국 등 기술 선도국과의 전략적 협력을 통한 우리의 국제 경쟁력 강화 기반이 마련”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국제 사회에서는 이동통신 세대가 통상 10년을 주기로 전환되는 것을 고려할 때 6G 상용화 시기를 오는 2028년~2030년 사이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은 디지털 대전환뿐 아니라 미래 신산업의 성장기반이 되는 핵심 기술로 국제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선제적인 기술개발 착수와 국제표준 선점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게 과기부의 설명입니다.

국내 5G 상용화 과정을 살펴보면 지난 2012년 5세대 표준화 협의체 구성→2013년 5세대 연구개발 착수→2017년 국제 표준화기구에 국내 강점기술 반영→2018년 5세대 후보기술 제안→2019년 세계 최초 5세대 상용화 성공 등으로 이어졌습니다.

현재 미국·중국 등 세계 주요 국가들도 차세대 이동통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며 기술패권 경쟁에 돌입한 상황입니다. 미국은 국방부 산하 고등연구계획국(DARPA) 주도 장기 연구개발에 착수한 이후 최근 주요 우방국과 6세대 기술 협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는데요. 중국도 2019년 6세대 전담기구 출범하고 일본도 2020년 민관 합동 ‘5세대 이후 연합체(Beyond 5G 컨소시엄)’을 구성‧운영 중입니다.

이날 전략회의에서는 지난 5월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를 활용해 양국 간 6세대 분야 공동연구 등 교류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도 논의됐습니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과 미 국립과학재단(NSF*) 간 공동연구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올해부터 양국 간 6세대 분야 공동연구를 본격 추진키로 했습니다.

인더뉴스

6세대 연구개발 관련 6대 분야별 올해 계획 및 향후 목표. 표ㅣ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통신위성·초정밀 네트워크 등에 2025년까지 2000억원 투자

6G 연구개발 실행계획도 공유했는데요. 6세대 연구개발 실행계획에는 ‘세계 최고 6세대 기술 강국’을 구현하기 위한 3대 전략 분야 ▲차세대 핵심 원천 기술 확보 ▲국제표준·특허 선점 ▲연구·산업 기반조성에 대한 세부 실행 계획이 담겼습니다.

우선 차세대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서 당장 민간이 적극적으로 투자하기 어려운 저궤도 통신위성, 초정밀 네트워크 기술 등 6대 중점 분야 10대 전략 기술에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2025년까지 총 2000억원, 올해 기준 총 179억원(12개 과제)을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6세대 시대에는 이동 중인 비행체(플라잉카, 드론 등)와 해상·재난지역 등에서도 Gbps급 통신 이용이 가능하도록 위성망‧지상망의 통합을 추진합니다. 이를 위해 위성‧지상 간 통합 접속기술을 개발하고 2031년까지 총 14기의 검증용·실증용 저궤도 위성을 발사하는 ‘위성통신기술 발전전략’의 이행도 병행해 추진할 계획입니다.

6세대 국제표준화와 관련해서는 우리나라에서 국제표준화기구(ITU) 6세대 비전그룹 작업 의장과 3GPP RAN1(물리계층) 의장에 진출한 성과를 공유합니다. 향후 국제표준 선도를 위해 표준화의 밑그림 격인 6세대 비전 정립단계부터 우리나라가 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담았습니다.

인력 양성에도 나섭니다. 튼튼한 연구·산업 기반 조성을 위해 올해 3개 대학 내 6세대 연구센터를 지정·운영하면서 석·박사급 인력 양성을 유도키로 했습니다. 또 국내 중소·중견기업과 국내 대학·연구소가 공동으로 연구개발에 참여하는 형태를 확대해 실무인력의 6세대 역량 강화도 촉진키로 했습니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차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디지털 혁신의 근간”인 만큼 “네트워크 분야에서 우리가 가진 경험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6세대 시대에도 국제 시장을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민간과 정부가 함께 과감하고 도전적인 역할을 해나가자”고 당부했습니다.

또한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 간 협력 기반이 잘 마련된 만큼 이를 잘 활용해 6세대 준비 초기 단계부터 국제 협업을 추진하고, 향후 관계부처, 대‧중소기업과도 긴밀히 협력해 우리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고 디지털 강국의 위상을 더욱 높여나가겠다”고 덧붙였습니다.

과기정통부는 향후에도 6세대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3대 분과위원회 (기술·표준화·위성‧주파수·글로벌)등 민관 협력 활동을 지속해 나가며 6세대 연구개발을 차질없이 이행해나갈 계획입니다.

Copyright @2013~2021 iN THE NEWS Corp.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