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문화재 디지털 대전환 2030' 발표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서울=연합뉴스) 임동근 기자 = 2030년까지 문화재 보존·관리·활용 전 분야에 디지털 방식이 도입된다.
16일 문화재청은 제4차 산업혁명 시대와 지능정보사회 진입에 따른 사회·경제 전반의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기 위해 '문화재 디지털 대전환 2030'을 발표했다.
문화재청은 문화재 디지털 대전환 목표를 '디지털로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문화유산'으로 설정하고, 4가지 핵심전략을 마련해 올해부터 2030년까지 17개 정책과제와 59개 세부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4가지 핵심전략은 ▲ 일하는 방식의 디지털 전환, ▲ 대국민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 ▲ 데이터 축적과 관리방식의 전환, ▲ 디지털 대전환 생태계 강화 등이다.
우선 일하는 방식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문화재 관련 데이터를 수집, 축적, 통합, 관리하는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한다. 수집한 데이터는 웹툰, 게임 등 문화산업 원천자료로 활용할 수 도 있게 개방된다. 또 무형문화재 전승지원 통합플랫폼과 문화재 수리기록 통합관리 시스템, 문화재 안전을 위한 방재 드론 스테이션 구축 등을 추진한다.
데이터와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해 문화재 정보 서비스를 개선하는 대국민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해선 인공지능이 방문자 눈높이와 상황을 자동 인식해 맞춤형으로 안내하는 문화재 안내봇(가칭 '닥터 헤리-Dr. Heri')을 개발해 로봇 해설사, 인공지능 스피커, 디지털 안내판 등에 접목할 계획이다.
아울러 데이터 축적과 관리방식을 전환하기 위해 국가 귀속 출토유물의 목록 자료화, 해양문화재와 수중매장문화재의 디지털 자료화, 국외소재문화재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등을 추진하고, 세계유산 자료 및 정보체계도 구축한다.
또 한양도성, 경주, 개성, 공주, 부여, 익산 등 역사도시 속 문화재와 인물, 사건 등을 디지털로 복원해 가상공간에서 간접 경험하는 '메타버스 타임머신' 서비스를 내년까지 마련할 방침이다.
마지막으로는 디지털 대전환 생태계 환경 강화와 관련해선 문화재 디지털 대전환 경험을 세계와 공유해 문화재를 통한 정보통신기술(ICT) 강국의 위상을 강화한다.
또 문화재 현장에 데이터와 디지털 기술에 능숙한 인력을 양성·배치해 일자리를 늘리고, 디지털 취약계층인 노인, 어린이, 장애인, 이주외국인 등에게도 문화재 디지털 향유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문화재청은 "2022∼2025년에 분야별 데이터를 축적, 가공, 통합해 문화재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고, 2026∼2030년에는 인공지능 업무와 서비스를 실제 업무에 적용하고 빅데이터 분석 역량을 강화하며, 2031년부터 대국민 서비스를 본격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단계별 추진 일정 |
dklim@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