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톺아보기]ESG 광풍 멈추지 않는 제도적 지원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ESG는 2000년대 초 유행했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론(CSR)과 지속가능경영이 진화된 기업경영관리시스템이다. ESG는 사회가 요구하는 기업에 대한 규범체계라고도 할 수 있다. 세계적 투자운영사들이 기업 CEO들에게 탄소중립에 대한 달성 목표를 기업 전략안에 통합하라고 사인을 보내고 글로벌 공급체계 내에서도 협력거래의 선결 평가기준으로 ESG 평가요소들을 최우선 고려하려는 조짐이 거래계약상에 적시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금융위원회가 2025년 자산 총액 2조원 이상의 상장사부터 ESG 공시 의무화가 도입되며, 2030년부터는 모든 코스피 상장사로 확대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한때 CSR 경영이 유행처럼 번졌던 2000년도 중반이 생각난다. 필자도 정부의 지원을 받아 중소기업 CSR경영포럼을 만들고 평가체계와 실천 가이드북을 발간해 전국으로 관련 특강을 다니곤 했다. 하지만 그러한 유행은 10년을 가지 못했다. 그때 함께했던 전문가들 중 겨우 일부만이 살아남았다.


ESG 전문가라고 자칭하는 학자와 컨설턴트들이 우후죽순처럼 늘어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ESG 추진내용들이 실제 전문가들이 아닌 급조된 자칭 전문가들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다 보니 조직화 및 평가체계의 적합성도 그 수준이 일정치 못하다.


이는 기업과 이해관계자 간의 불신을 조장하고 검증을 위한 투자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만큼 사회적 비용이 만만치 않다. 정부 지원하에 관련 업종별 협·단체에서 자기 업종에 맞는 표준화된 ESG 평가 및 보고체계를 만들어 활용토록 해야 할 것이다. 업종 규모나 능력에 따라 지표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구간별 ESG 평가체계를 만들어 보급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ESG 경영은 사실 중소기업에서부터 실천돼야 국민경제적 성과가 있다. 따라서 정부는 중소기업들이 ESG 경영을 도입해 실제 활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교육과 컨설팅은 물론이고 내부 ESG 조직화와 실천 및 성과평가 및 보고체계 등을 중소기업들이 자력으로 할 수 있도록 강력하고 실질적이며 혁신적인 지원조치가 지속되어야 한다. ESG에 대한 투자비용이 상품가격이나 납품 단가의 인하 압력으로 전이되는 것도 경계하여야 한다. 국민 세금으로 국가 구성원 모두가 함께 투자하는 거국적 지원조직을 만들어 리딩할 필요도 있다.


ESG를 단순히 투자자의 시각에 가두지 말아야 한다.


이해관계자 전체의 시각에서 업종별 고민과 애로사항을 수렴하고 이를 ESG 평가체계 정립과 지원방안에 담을 수 있도록 점진적이고 신속하게 진행시키는 조직화도 요망된다. 동시에 중소기업 등의 ESG 성과를 정부가 강력히 홍보해서 사회가 필요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시간이 지나면 ESG의 유행은 수그러질 수 있다. 제도나 규범체계를 지금 만들어 지속화할 수 있는 토양을 만들어야 한다. 그동안 먹고살기에 바빠 놓쳐왔던 기본으로 돌아가자. 이게 우리 사회와 후세대를 이어가고 지구를 살리는 길임을 알아야 한다.


김익성 동덕여대 교수·아시아유럽미래학회장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