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카터, 방북에 적합한 지도자"…DJ, 1994년 연설 영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대중도서관, 6·15남북공동선언 21주년 기념사료 공개

연합뉴스

질의응답하는 김대중 전 대통령
[연세대 김대중도서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치연 기자 = "(방북에) 가장 적합한 지도자, 원로 정치인은 카터 대통령임에 틀림없다고 생각합니다." (김대중 전 대통령 질의응답 중)

연세대 김대중도서관(이하 도서관)은 6·15 남북공동선언 21주년을 맞이해 1994년 1차 북핵 위기 당시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의 방북을 제안한 김대중 전 대통령의 동영상 자료를 14일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자료는 김 전 대통령이 1994년 5월 12일 미국 내셔널프레스클럽에서 한 연설·질의응답을 촬영한 영상이다. 당시는 1993년 3월 북한이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를 선언하면서 1차 북핵 위기가 커지던 시점이었다.

북한과 국제원자력기구(IAEA), 미국 사이의 협상이 타결에 이르지 못하면서 1994년 봄부터 북한의 '서울 불바다' 발언과 핵 활동 재개 선언이 이어지며 한반도에 전쟁 위기가 고조됐다.

이에 김 전 대통령은 카터 전 대통령의 방북을 제안하며 "카터 대통령은 중국과의 외교관계를 수립한 대통령"이라며 "그가 (방북에) 아주 적당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북한은 카터 대통령을 오랫동안 칭송해왔기 때문에 방북을 기대할 것"이라며 "미국이 이런 원로 지도자를 북한에 보내면 김일성으로 하여금 미국에 대한 어떤 결정적 양보를 끌어내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후 1994년 6월 15일 카터 전 대통령이 북한에 방문해 김일성과 회담하면서 한반도 전쟁 위기가 해소됐다고 도서관 측은 설명했다. 아울러 김 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북핵 문제 해법으로 북한의 개혁·개방을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전 대통령은 "우리 측 대사관이 북한에 있다면 무수한 기업인들이 북한에 투자하고 수많은 관광객이 북한을 방문해 분위기를 크게 변화시켜 북한을 중국 같은 입장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했다.

도서관 측은 "부시·오바마·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외교를 봤을 때, 김대중-클린턴 시기의 대북 접근이 가장 현실적으로 성공한 모델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chic@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