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30 (월)

이슈 세계 금리 흐름

고개 드는 인플레에…연내 금리인상 가시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달 1~10일 수출액, 전년比 40% ↑

예상보다 빠른 경기회복에 물가 상승

'빚투' 폭등한 자산도 금리인상 부추겨

이주열 한은 총재 "충격 없이 대비할 수 있도록 할 것"

아시아경제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세종=권해영 기자, 손선희 기자] 금리와 물가는 2000년 이후 약 20년간 내리막길을 걸었다. 통계청의 물가상승률을 보면 2000~2010년에는 평균 3.2%정도였지만 2011~2020년에는 1.35%로, 직전 10년 평균치의 절반에도 못미쳤다.


특히 금리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그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미국은 제로(0) 금리(0.00~0.25%), 한국은 2.0% 금리를 적용했는데, 위기 이후 몇 차례 금리를 올렸지만 대부분의 국가들이 위기 이전 수준 금리를 회복하진 못했다. 4차 산업혁명과 자동화 때문에 장기간 물가가 오르지 않는 디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났고, 물가가 오르지 않는데 돈줄을 조일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코로나19 회복속도가 빨라지며 물가가 급등하자, 이제는 오히려 전 세계가 인플레이션과 싸우는 쪽으로 바뀌는 모양새다. 저금리에 폭등한 자산가격도 금리인상을 부추기는 요소다.


◆예상보다 빠른 경기회복…물가도 급등= 저금리 기조 종말에 힘이 실리는 대표적 이유는 빠른 경제회복이다. 11일 기획재정부는 ‘6월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수출·투자 등이 견조한 회복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내수 개선 흐름이 이어지고 있고 고용은 두 달 연속 큰 폭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코로나19에도 우리 경제가 선방하게 된 비결인 수출은 올해 들어 선진국 백신 접종 속도가 빨라지면서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이날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10일 수출액은 173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0.9% 증가했다. 지난달에도 통관 기준 수출이 45.6% 늘어 32년 만에 최대 폭으로 증가했다.


빠른 경기회복세는 물가 상승을 동반한다. 한은이 전망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1.8%로, 한은의 물가안정목표(2.0%) 수준에 가깝다. 한은은 전날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2분기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를 웃돌다가 하반기 중에도 2% 내외 수준에서 등락하며 지난해에 비해 오름세가 상당 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 2년간 0%대에 그치며 디플레 우려를 키웠던 근원인플레이션도 올해 중 1%를 웃도는 수준으로 높아질 것으로 점쳐진다. 한은은 "최근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이 상승하고 있는 데다 경제활동 정상화 과정에서 수요·공급 측면의 물가상승 압력이 예상보다 커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인플레이션 추이를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아시아경제

이미 물가가 오르고 있고 향후 물가상승률에 영향을 미칠 기대인플레이션율까지 뛰고 있어 물가 급등을 억제하려면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논리를 만들게 된 것이다. 정부도 그린북에서 4개월 연속 ‘인플레이션 우려’를 언급했다.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3%를 기록한 데 이어 5월에도 2.6%로 상승폭이 커졌다. 지난 1~5월 물가상승률 평균치가 1.62%인 만큼, 6월이 지나면 상반기 평균 물가상승률이 정부의 연간 물가관리 목표치인 2%에 더 다가설 것으로 전망된다.


◆초저금리 기조에 가계부채·자산급등 문제 심각= 저금리에 ‘빚투(빚을 내 투자)’가 몰리자 자산가격이 급등한 것도 금리를 올려야 하는 이유로 떠올랐다. 이주열 한은 총재가 이날 창립기념사에서 전례없는 경기부양책의 부작용에 대해 언급한 배경도 여기에 있다. 이 총재는 "전례없이 시행한 과감한 경기부양 조치가 위기를 극복하는 데 큰 도움이 됐지만, 이 과정에서 부문간·계층간 불균형이 확대된 것도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간 취해온 확장적 위기대응 정책들을 금융·경제 상황 개선에 맞춰 적절히 조정해 나가는 것은 우리 경제의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꼭 필요한 과정"이라고 덧붙였다.


한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가계 빚은 1765조원 규모로 역대 최고 수준이며, GDP 규모와 맞먹는다. 지난해 기준 가계의 부채상환 능력을 보여주는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0.7%로 전년 대비 12.5%포인트 급등했다. 지난해 증가폭은 최근 10년 사이 최대치로 나타났다. 부동산과 주식 가격이 급등하자 소득격차뿐 아니라 자산격차까지 확대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 총재는 금리 인상에 따른 충격도 고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기념사에서 "코로나19 전개 상황, 경기회복의 강도와 지속성, 금융불균형 누적 위험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 정도의 조정 시기와 속도를 판단해야 할 것"이라며 "물론 이 과정에서 경제주체들과 사전에 충분히 소통해 이들이 충격없이 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