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다이슨 V15 디텍트™ & 다이슨 V12 디텍트 슬림™ 레이저로 먼지를 포착하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보기에는 깨끗한 거실 바닥도 청소기를 사용하면 먼지통 안에 먼지가 가득 모인다. 바닥의 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 또 하나. 머리카락은 매일 빠진다는 것. 오래된 청소기는 흡입력이 떨어진 게 아니라 헤드 브러쉬에 머리카락이 엉켜 먼지 흡입을 막고 있다는 것도 알게 된다. 다이슨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한 제품을 출시했다. ‘다이슨 V15 디텍트™’와 ‘다이슨 V12 디텍트 슬림™’의 주목할 기술만 짚는다.

시티라이프

다이슨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 이후 전 세계 모든 가정의 60% 이상이 청소 빈도가 증가했다고 한다. 실내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날수록 청소에 대한 관심도 증가한다. 미세한 먼지입자를 완벽히 제거하고, 깨끗한 공기질을 유지하는 게 중요해진 시대에 고성능 청소기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미세한 먼지 입자를 보여주는 레이저

바닥의 미세한 먼지는 일반 조명으로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레이저를 사용하면 먼지 입자가 확연히 드러난다. 다이슨의 디텍트 시리즈 청소기 헤드에는 레이저 디텍트 기술이 장착됐다. 헤드 측면에 장착된 레이저 광원이 바닥을 조사하여 눈에 보이지 않았던 미세한 크기의 먼지들을 보여준다. 다이슨 엔지니어들은 먼지들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녹색 레이저를 사용했다. 특히 레이저를 지면에서 7.3mm 높은 곳에 위치시켰으며, 1.5도로 기울여 바닥을 넓고 명확히 비추게 제작했다. 눈에 보이지 않았던 먼지 입자들이 명확히 보인다. 레이저 디텍트 기술은 엔지니어가 집안에서 공기 중 입자가 햇볕에 반짝이는 것을 보고 아이디어를 착안해 개발했다고 한다.

▶먼지 입자를 종류별로 분류하는 기술

먼지라고 부르지만 실내 먼지는 몸에서 떨어져 나온 각질이나 미세한 박테리아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다이슨은 먼지를 청소한 후 먼지를 종류별로 분류해 제품 뒷면의 LCD 창에 흡입한 먼지를 종류별로 보여준다. 화면에 표시된 그래프를 통해 집안을 구성하는 먼지들의 종류와 양을 알 수 있다. 미세한 먼지 입자 구분은 피조 센서가 담당한다. 피조 센서는 먼지가 흡입구를 통과하며 일으키는 작은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화시켜, 먼지 입자 크기를 측정한다. 1초에 최대 1만5000번 측정하니 실시간으로 거의 모든 먼지를 측정한다. 또한 다이슨 무선 청소기는 바닥 유형이나 먼지 양에 따라 자동적으로 흡입력이 조절된다. 피조 센서가 고농도의 먼지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더욱 세게 흡입하며, 먼지 양이 줄어들면 흡입력이 일반 수준으로 줄어든다.

▶먼지 배출이 없는 5단계 정화 기술

청소기에선 보통 뜨거운 바람이 나온다. 모터가 회전하며 나오는 바람인데, 이 바람에 먼지가 섞여있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드는 건 당연하다. 흡입한 먼지가 청소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려면 꼼꼼한 여과 과정이 요구된다. 디텍트 시리즈에는 5단계 고성능 필터레이션 기술이 적용되어 아주 작은 먼지도 밖으로 내보내지 않는다. 0.3마이크론에 불과한 입자를 99.99% 포착해 정화된 깨끗한 공기만 배출한다. 다이슨의 싸이클론 기술은 먼지와 오물을 효율적으로 분리하는 기술이다. 그리고 완전히 밀봉된 시스템으로 먼지를 먼지통에 가둔다.

▶머리카락 없는 깨끗한 브러쉬

청소기도 관리가 필요하다. 청소기 헤드 브러쉬에는 머리카락이나 반려동물의 털이 엉키는 경우가 많다. 브러쉬에 촘촘이 엉킨 털은 먼지 흡입을 막아 청소에 어려움을 발생시킨다. 다이슨은 이러한 엉킴 문제를 원뿔형 브러쉬인 헤어 스크류 툴로 해결한다. 원뿔형 브러쉬바는 회전을 통해 브러쉬에 끼인 머리카락이나 털을 브러쉬바의 가장 얇은 곳으로 밀어내고, 밀려난 브러쉬바는 측면의 먼지 흡입구로 바로 흡수되어 깨끗한 브러쉬 상태를 유지한다. 다이슨은 원뿔형 브러쉬바 개발 과정에서 여러 유형의 모발 테스트를 거쳤다고 한다.

[글 조진혁(『아레나 옴므 플러스』 피처에디터) 사진 다이슨]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