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정민 씨의 부친 손현 씨가 지난 8일 서울 반포한강공원에서 정민씨를 기리기 위해 놓인 조화를 바라보고 있다. (사진=이데일리 이상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손씨는 25일 오전 자신의 블로그에 ‘1개월’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고 “정확히 정민이 실종 1개월이 됐다”면서 “오늘은 해프닝이 있었다. 경찰청 브리핑 후 기사들이 나왔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24일 “손정민 씨의 휴대전화를 포렌식 한 결과 실종 당일인 지난달 25일 오전 1시9분쯤 마지막으로 웹을 검색한 이후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앱) 사용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라는 경찰청 브리핑 보도 일부 내용을 발췌해 올렸다.
손씨는 “모친과 SNS를 한 게 그 뒤가 아닌가요? 하다못해 배달 앱 주문시간도…“라며 정민 씨가 사건 당일 오전 1시12분에 이용한 배달 앱 화면을 캡처해 올렸다.
이와 함께 손씨는 정민 씨가 배달 앱에 주문한 음식과 관련해 아내와 대화를 나눈 카카오톡 메시지를 캡처해 게재했다. 캡처 화면 속 대화는 오전 1시20분에서 1시24분까지 이어졌다.
25일 손씨가 사건 당일 오전 1시12분 정민 씨가 이용한 배달앱 화면(왼쪽), 어머니와 나눈 카카오톡 메시지를 캡처해 올렸다. (사진=손현 씨 블로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어 손씨는 “경찰은 ‘통화·문자·메신저 송수신 내역은 인터넷·앱 사용 내역과 분리돼 관리된다’며 ‘카카오톡 등의 메시지는 당일 오전 1시24분께 정민 씨가 어머니에게 보낸 것이, 통화는 오전 1시33분께 (배달 앱) 기사에게 한 것이 마지막’이라고 부연했다”라는 글도 올렸다.
그는 끝으로 “시간을 늘리고 줄이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지만, 사실과 다르게 보도되는 게 이런 식으로 될 수도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라고 의미심장한 말을 남겼다.
경찰 관계자는 “통신사에서도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을 때도 자동 동기화 또는 백그라운드 앱 실행 등으로 데이터 통화 내역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는 회신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당시 정민 씨와 함께 술을 마셨던 친구 A씨는 잠들었다가 오전 4시30분께 깨어나 정민 씨의 휴대전화를 소지한 채 홀로 귀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가족과 함께 정민 씨를 찾으러 한강공원에 돌아온 A씨는 오전 5시40분쯤 정민 씨 부모에게 휴대전화를 돌려줬다.
일각에서는 휴대전화 데이터 사용 내역을 토대로 A씨가 휴대전화 반환 직전까지 계속 사용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경찰은 A씨 휴대전화와 관련해서는 “A씨가 부모와 통화한 지난달 25일 오전 3시37분 이후 A씨 휴대전화 위치를 분석한 결과 이 통화 시점부터 전원이 꺼진 오전 7시2분까지 계속 한강공원 주변에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했다.
한편 경찰은 전날 A씨를 참고인 신분으로 추가 소환 조사했다며 지금까지 총 7번의 조사를 했다고 밝혔다. 또 경찰은 정민 씨의 사망 경위를 밝히기 위해 정민 씨가 숨질 당시 신고 있었던 양말에서 채취한 토양 성분과 한강 변 잔디밭·수면 아래 흙 성분 등의 비교 분석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의뢰해 그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