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비디아이, 엘리슨 뇌암치료제 개발 순항 '내년까지 임상3상 진행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건우 기자]

비디아이는 엘리슨이 미국에서 개발중인 항암 파이프라인 중 뇌암치료제 'DBD(Dibromodulcitol)'에 대해 늦어도 내년 상반기 중에는 임상3상에 돌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12일 밝혔다.

DBD는 뇌종양 중에서도 가장 악성으로 평가 되고 있는 교모세포종(Glioblastoma)의 치료를 위해 개발중인 경구용 화학요법 치료제다. DBD는 기존에 NCI (National Cancer Institute)에 의해 최초 개발됐으며, 여러 임상 1상 및 2상 시험에서 대규모 안전성 데이터 베이스를 확보했을 뿐 아니라 고형암 및 혈액암에서 유효성이 확인됐다.

또 경구투여 약물이기 때문에 정맥 주입 요법 대비 적용이 용이할 뿐 아니라 신규 뇌종양 환자 및 표준 항암 화학 요법에 내성을 보인 환자 모두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비디아이 관계자는 "엘리슨은 풍부한 신약 개발 경험을 가진 경영진과 세계적 수준의 학술 자문단 (Scientific advisors)이 효율적 제품개발에 필요한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며 "기존 상용화 된 항암제에 기반한 과학적 지식과 다수의 임상시험에서 확보한 데이터를 통해 개발 및 규제 관련 위험을 최소화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대 주주인 비디아이는 엘리슨과 전략적 협력관계를 구축해 엘리슨이 희귀암에 속하는 췌장암, 폐암 및 뇌종양 환자에 대한 새로운 희망을 선사 할 수 있는 제약사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뇌종양의 경우 미국에서만 약 2만4000명의 신규 환자가 발상하고 이중 1만6000명이 사망한다. 이번에 계획중인 임상 3상을 무사히 마치고 FDA 희귀의약품 출시 절차에 따라 신약이 신속하게 출시가 되면 약 10억 달러 이상의 시장 가치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엘리슨은 현재 뇌암치료제 DBD외에도 3가지 적응증을 대상으로 한 임상파이프라인 3종에 대해 임상을 진행 중이다. 췌장암 단일 2차 치료제 '글루포스파미드'는 FDA에서 임상3상이 진행 중이다. 흡입식 폐암/소아골육종 치료제(ILC)는 FDA에 2/3상 임상시험계획서를 제출해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김건우 기자 jai@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