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스타벅스는 어쩌다 SNS 포기를 고민하나 [광화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주동 국제부장]
머니투데이

트위터가 지난 5일 소개한 새로운 기능. 사용자가 공격적인 멘션을 썼다고 시스템이 인식하면 올리기 전 다시 한번 읽어보라는 알림이 뜨도록 했다.


영국의 프로축구 프리미어리그(EPL)를 비롯한 현지 축구 단체들이 지난달 말부터 4일 동안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사용을 중단하는 보이콧을 벌였다. 손흥민 등 여러 선수들이 소셜미디어(SNS)에서 인종차별을 받고 있음을 대중에 알리고, 이 문제에 대해 SNS 업체들의 개선 노력이 부족했다는 점을 항의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타벅스 본사가 페이스북 계정 폐쇄를 검토한다는 소식도 전해졌다. 6일 미국 버즈피드가 입수한 회사 담당자 내부 온라인 대화에 따르면, 스타벅스는 SNS에 올린 인종 문제, 기후변화 문제 등을 다룬 글에 다른 생각을 인정하지 않는 공격적이거나 혐오적인 댓글들이 폭주하자 "좌절감"을 느낀 것으로 전해진다.

바깥활동이 자유롭지 않은 요즘 혐오, 온라인 공격 문제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어떤 사안에 대한 비판, 분노를 넘어선 혐오는 감정을 앞세우고 정교하지 않으며 파괴적인 성격을 띤다.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고 되레 여러 엉뚱한 피해자들까지 낳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라는 풀기 어려운 거대한 문제 앞에서 좌절을 느낀 어떤 이들은 특정한 대상을 원인으로 찍고 혐오감을 드러내기도 한다. 코로나가 전 세계인이 겪는 문제이고 우리에게는 발달된 인터넷이 있다 보니 혐오는 쉽게 다른 사람을 '감염'시키고 있다.

지난 3월 미국의 UC샌프란시스코(UCSF)는 작년 3월 16일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트위터에 '중국 바이러스'(Chinese virus)라는 표현을 쓴 이후 트위터에서 나타난 변화를 분석한 보고서를 냈다. 이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의 트윗 일주일 이후 해시태그 '#covid19'(코로나19)는 379% 늘어난 데 반해, '#chinesevirus'는 8351% 급증했다. 또 #covid19를 붙인 50만개 글에서 '반 아시안' 성격의 해시태그를 같이 단 글이 20%가량이었던 반면, #chinesevirus 글 77만5000개에는 절반 정도에 반 아시안 해시태그가 붙어 있었다. 영향력 있는 한 사람의 작은 행동이 소셜미디어를 만나 어떤 악순환을 낳을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다.

이러한 반 아시안 정서는 온라인을 넘어 실생활에도 영향을 끼친다. 미국 뉴욕시 통계에 따르면 4월 한달 이 지역에서 벌어진 아시아인 상대 증오범죄는 1년 전보다 400% 급증했다. 심지어 가해자들은 '중국 바이러스'라고 부르면서도 중국인만 대상으로 하지도 않는다. 인권단체 'Stop AAPI Hate'(아시아계 혐오를 멈춰라)에 따르면 미국 내 관련 피해자의 43.7%는 중국계였지만, 한국계도 16.6%를 차지하며 두 번째로 많았다.

소셜미디어의 사회적 실패는 정치권에서도 주목한다. 지난달 말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임원들은 미국 상원에 불려갔다. 의원들은 알고리즘에 대한 얘기를 들었다. 유튜브를 켜면 최근 내가 본 영상과 관련된 것이 상단에 노출돼 한번 거짓정보나 혐오 내용 콘텐트를 접하게 되면 이후 어긋난 판단이 강화되기 쉬운데, 그 뒤에는 알고리즘이 있기 때문이다.

요즘 해외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소개했지만 이게 다른 나라만의 문제인 것은 아니다. 사건 기사를 보면 특정 단체나 직업군, 한쪽 성별을 싸잡아 비난하는 댓글들이 인기 순위 상단을 차지한다. 특정인에 대한 공격적 댓글이 넘치면서 이미 우리는 포털사이트의 연예, 스포츠 쪽 댓글란을 잃었다. 표현할 공간이 줄어든 데 대한 불만도 나오지만 이 상태가 유지되는 데에는 댓글의 부작용에 대한 사회적 공감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물론 이런 극약 처방은 소셜미디어가 문제 해결 능력을 갖지 못해서이기도 하다. 그렇다고 사용자의 책임이 없는 것은 아니다. 무심코 한 나의 작은 행동 역시 다른 악순환의 시작점이 될지 모른다.

지난 5일 트위터는 새로운 알림 기능을 소개했다. 사용자가 특정인에게 트윗을 보낼 때 공격적이거나 유해한 내용이 있다고 판단되면 알림을 띄워준다. 알림창에는 "트윗 올리기 전에 다시 읽어보실래요?"라는 글과 함께 사용자가 쓴 글을 보여준다. 효과가 있을까? 지난해 이 기능 테스트 결과 34%는 글을 수정하거나 지웠다고 한다.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주동 국제부장 news93@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