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미얀마 민주화 시위

미얀마 유혈 탄압 멈추나…군부, 아세안과 '폭력종식' 합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 24일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서 열린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특별정상회의에서 아세안 정상들과 미얀마 군부 간 '폭력 중단' 합의가 이뤄졌다. 관건은 미얀마 군부가 이번 합의 사항을 얼마나 잘 준수할지로, 시위대를 무자비하게 진압하고 있는 군경의 태도 변화가 그 첫 가늠자가 될 전망이다. 그러나 합의 당일에도 미얀마에서 유혈 사태가 이어졌다.

이날 아세안 정상회의에서 미얀마 사태 해결을 위한 합의 사항은 △미얀마의 즉각적 폭력 중단과 모든 당사자의 자제 △국민을 위한 평화적 해결책을 찾기 위한 건설적 대화 △아세안 의장과 사무총장의 특사 형식 대화 중재 △인도적 지원 제공 △특사와 대표단의 미얀마 방문 등 총 5개항이다.

이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제1항에 나타난 폭력 즉각 중단과 각 당사자의 최대한 자제력 발휘다.

현지 인권단체 정치법지원협회(AAPP)에 따르면 전날 현재 군경 폭력에 사망한 것으로 확인된 이는 745명이고, 체포·구금된 이는 3371명에 달한다. 실제 이날 회의에서도 아세안 정상들이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군 최고사령관에게 가장 먼저 언급한 사항은 비무장 민간인을 상대로 한 군경의 폭력 사용 즉각 중단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아세안 정상들의 이 같은 제안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이 밖에도 아세안 특사와 대표단의 대화 중재 등도 자국민을 향해 총부리를 들이대고 있는 군부의 '광기'에 브레이크를 거는 압박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여러 정상이 지적했고, 애초 의장 성명에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던 정치범 석방이 합의 사항에 포함되지 않은 부분이 향후 문제가 될 소지도 있다. 정치범 석방은 폭력 중단과 함께 민주진영의 핵심 요구 중 하나였던 만큼, 향후 군정과 민주진영 간 대화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걸림돌로 작용할 수도 있다.

'폭력 중단' 합의가 이뤄진 이날 만달레이 지역에서 한 청년이 총에 맞아 숨졌다. 25일 현지 매체인 미얀마 나우에 따르면 전날 만달레이의 찬미야타지 마을에서 군경이 도로의 타이어에 불을 지른 청년에게 사격을 가했다. 군경은 청년을 살해한 뒤 곧바로 시신을 차량에 옮겨 싣고 사라졌다. 수도 네피도에서는 군경이 시위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50세 시민을 붙잡은 뒤 사살했다고 목격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재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