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살 주역 흘라잉 참석 아세안 정상회의서 5개항 합의…“흘라잉도 반대 안해”
예상 밖 성과 평가 속 “약속·실행 별개” 신중론도…아세안 후속 조치가 관건
조코 위도도(왼쪽 두 번째)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미얀마 사태 해결을 위한 동남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끝난 후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회담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EPA]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동남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폭력 즉각 중단 및 아세안 특사·대표단의 미얀마 방문 등 5개 항 합의가 이뤄지면서 미얀마 쿠데타 사태가 80여일만에 분수령을 맞게 됐다.
24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이날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정상들은 폭력 즉각 중단 및 아세안 특사·대표단의 미얀마 방문 등 5개항에 대한 합의에 도달했다.
아세안 정상회의에서 합의된 5개 항은 ▷미얀마의 즉각적 폭력 중단과 모든 당사자의 자제 ▷국민을 위한 평화적 해결책을 찾기 위한 건설적 대화 ▷아세안 의장과 사무총장의 특사 형식 대화 중재 ▷인도적 지원 제공 ▷특사와 대표단의 미얀마 방문이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제1항에 나타난 폭력 즉각 중단 및 각 당사자의 최대한 자제력 발휘다.
실제 이날 회의에서도 아세안 정상들이 흘라잉 최고사령관에게 가장 먼저 언급한 사항은 비무장 민간인을 상대로 한 군경의 폭력 사용 즉각 중단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 이익 차원에서 평화적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한 당사자간 건설적 대화를 시작한다는 두 번째 합의 사항 역시 폭력 사용 중단과 연계되는 점에서 의미가 적지 않다.
이밖에도 인도적 지원 제공, 아세안 특사 및 대표단의 대화 중재와 미얀마 방문 합의 역시 그동안 쿠데타 이후 국제사회의 호소에도 귀를 닫은 채 국민을 향해서 총부리를 들이댔던 군부의 ‘광기’를 멈출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점에서 이번 정상회의 결과물을 놓고 무히단 야신 말레이시아 총리는 회의 이후 기자들에게 “우리의 기대를 뛰어넘는 결과”라고 자평했다.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도 “전반적으로 생산적인 회의였고, 다음 단계로 이어질 것”이라고 언급했다.
군사정권의 대척점에 선 국민통합정부(NUG)도 환영의 뜻을 표했다.
사사 NUG 대변인은 이번 합의사항이 자신들이 촉구해 오던 것이었다면서 고무적인 소식들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이제 관심은 미얀마 군부가 이번 합의사항을 잘 준수할 지, 또 아세안이 얼마나 신속하게 후속 조치에 나설 지에 쏠리게 됐다.
24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미얀마 사태 해결을 위한 동남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한 자리에 모인 아세안 회원국 정상들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 [A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날 정상회의에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군 최고사령관이 직접 참석했고, 아세안 정상들의 제안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그러나 여러 정상이 지적했고, 애초 의장 성명에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던 정치범 석방 부분이 합의 사항에 포함되지 않은 부분이 향후 문제가 될 소지도 있다. 의장 성명에는 그런 요구가 있었음을 확인하는 수준에 그쳤다. 흘라잉 사령관이 이 요구에는 반대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대목이다.
정치범 석방은 폭력 중단과 함께 민주진영의 핵심 요구 중 하나였던 만큼, 향후 군정과 민주진영간 대화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걸림돌로 작용할 수도 있다.
아세안이 미얀마를 방문해 군정과 민주진영관 대화를 중재하는 방안도 첫발을 뗐다는 의의는 있지만, 양측간 입장이 워낙 판이한 만큼 향후 실행 과정에서 진통이 불가피하다.
리셴룽 총리는 “폭력을 중단하고 정치범들을 석방하겠다고 말하는 것과, 그것을 실제로 해내는 것은 별개이고, 정치적 해결책에 도달하기 위해 포괄적 토론을 하는 것은 더 어렵다”며 “앞으로 갈 길이 멀다”고 신중론을 펼쳤다.
realbighead@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