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 구성이씨·여흥이씨 묘 출토복식 96건·124점
16세기 중후반 양반 가문 여성 복식 "전통 장례 방식 등 엿볼 수 있어"
단령형원삼 대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문화재청은 조선 중기 여성의 복식문화와 상·장례 풍습을 가리키는 '오산 구성이씨·여흥이씨 묘 출토복식'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 예고한다고 23일 전했다. 한 달간 각계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정 여부를 확정한다.
2010년 5월 경기 오산 가장산업단지 공사 현장에서 조선 시대 여성 미라 2구와 함께 나온 복식 96건, 124점(구성이씨 41건 51점·여흥이씨 55건 73점)이다. 두 묘에서 출토된 명정(銘旌·죽은 사람 신분을 밝히기 위해 품계, 관직, 성씨 등을 적은 것)에 따르면 주인은 조선 사대부 남성의 첫째 부인(구성이씨)과 둘째 부인(여흥이씨)이다. 작고 당시 남편의 관직 품계가 각각 9품과 6품이었다.
가리마 실제착장모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문화재청은 16세기 중후반 양반 가문 여성의 다양한 복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희소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조선 여성의 염습(殮襲) 과정 등 전통 장례 방식도 엿볼 수 있어 중요한 자료라고 평가했다. 관계자는 "두 묘는 무연고라는 한계가 있으나 발굴기관, 복식 전공자, 병리학 연구자 등 전문가에 의해 유물 수습, 보존처리 등이 체계적으로 이뤄졌다"라고 부연했다.
전단후장형쌍스란치마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문화재청은 시신의 머리에 쓴 상태로 출토한 '가리마'로 여성용 쓰개(모자)의 착용법을 확인했고, 남성의 관복처럼 목선이 둥근 형태인 '단령형원삼'으로 초기 부녀 예복의 형태를 파악했다. 치마의 앞부분을 접어 앞은 짧고 뒤는 길게 만든 전단후장형 쌍스란치마는 임진왜란 전에만 확인돼온 복식이다. 자수바늘집노리개는 당대 자수 기법을 확인할 수 있어 학술 가치가 높다고 평가된다. 관계자는 "얼레빗, 참빗, 귀이개, 솔 등도 출토 사례가 많지 않은 유물"이라며 "수례지의로 사용된 액주름, 철릭이 포함돼 같은 시대 남성 복식의 특징까지 파악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