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불화 정밀조사' 결과 보고서 발간
[서울=뉴시스]'대형불화 정밀조사' 결과 보고서(사진=문화재청 제공)2021.03.1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 남정현 기자 = 문화재청이 성보문화재연구원과 함께 공동 추진하고 있는 '대형불화 정밀조사' 사업의 2020년 조사 결과를 종합한 여섯 번째 보고서를 발간했다.
'대형불화 정밀조사'는 대형불화의 과학적인 분석 자료를 축적하고, 원형을 잃을 경우를 대비한 복원 관련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2015년부터 10개년 간의 계획으로 진행하고 있는 사업이다. 과학적 분석은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수행해 조사의 전문성을 높였다.
이번 보고서에는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탱(국보)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국보) ▲칠장사 삼불회 괘불탱(보물) ▲청룡사 영산회 괘불탱(보물) ▲축서사 괘불탱(보물) ▲오덕사 괘불탱(보물)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및 함(보물) 등 총 7건의 대형불화에 대한 과학적 분석 결과와 채색 정보, 관련 유물의 원형 자료, 보존 현황 등의 내용이 종합됐다.
보고서에는 자외선-가시광선 반사 분광 분석을 적용한 청색과 흑색 유기 색료 해석 등 채색 재료 분석 데이터와 바탕 직물에 대한 조사 결과가 담겼다.
특히 이번에는 목재 궤에 사용한 철물 장석의 분석 결과를 새롭게 담아 정밀조사의 연구 범위를 넓혔다. 이와 함께 전통 안료의 채색 기법 연구를 위해 현장에서 전문가들이 실물과 대조해 재현한 안료의 조색표를 수록했다.
이번 조사로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은 현재 전하는 괘불탱 중 유일하게 바탕색이 '배채법'으로 처리되고 일부분이 금박과 금니로 채색된 사실이 밝혀졌다. 배채법은 종이의 뒷면에 색을 칠해 은은한 느낌이 앞으로 배어 나오게 하는 화법이다.
또 얇은 비단인 초(?)를 일반적인 전통 직물의 폭보다 넓게 짜 제작해 그 위에 그림을 그린 것도 확인돼 17세기 불화 채색 기법과 직물 제직 기술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확보하게 됐다.
또한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의 복식 문양을 표현할 때 그간 17~18세기의 괘불탱에서 확인되지 않았던 '고분법(高粉法)'을 사용한 것을 밝혀냈으며, 장신구와 복식에서 안료에 가려져 있던 색상 표시 묵서 39자가 확인돼 여러 화원들이 분업해 대형불화의 채색을 완성해 나간 방식을 짐작할 수 있었다.
이외에 정밀 실측과 과학적 분석을 통해 크기와 재질을 정밀하게 분석했고, 그 결과 '청룡사 영산회 괘불탱'의 바탕재가 비단과 삼베를 혼합해 제작한 재질임을 확인했다. 더불어 이번 조사의 결과로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및 함'이 보물로 지정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올해에는 갑사 삼신불 괘불탱(국보), 금당사 괘불탱(보물), 율곡사 괘불탱(보물), 운흥사 괘불탱 및 궤(보물), 용흥사 삼불회 괘불탱(보물), 안국사 영산회 괘불탱(보물), 흥천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 및 괘불함(서울시 유형문화재) 등 7건을 대상으로 22일부터 정밀 조사를 시행할 예정이다.
보고서는 문화재청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nam_jh@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