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접종 계획의 성공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민의 신뢰 확보가 중요하다. 이런 점에서 국내에서 처음 접종되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둘러싼 최근의 혼선과 논란은 무척 아쉽다. 65세 이상 고령자에 대한 접종 여부를 놓고 오락가락한 정부의 태도가 불신을 키운 측면이 있다. 더욱이 초기 공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예방 효과는 62~70%로 정부가 확보한 백신중 가장 낮다. 화이자는 95%, 모더나는 94.1%, 노바백스는 89.3%이다. 최근 여론조사에서도 백신 접종을 받을 것인지에 대해 유보적인 반응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역시 고령층에 대한 임상 실험이 다소 부족했다는 것일 뿐 국제적으로 효능과 안전성을 공인받은 제품이다. 이 백신을 접종한 뒤 4주 후의 입원 위험이 94%나 하락해 85%인 화이자 백신보다 오히려 뛰어나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여러 백신이 나름대로 장ㆍ단점이 있으나 모두 감염 예방 효과가 충분하다는 것은 이미 의학적으로 입증됐다. 백신 효과보다는 백신에 대한 신뢰가 방역 성공의 성패를 가른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특히 최근 정치권에서 벌어진 '1호 접종' 공방은 개탄스럽다. 문재인 대통령이 솔선수범해 국민의 불신을 해소해야 한다는 야당의 주장이 진정성을 담은 제안이라고 하더라도 방역 문제를 정치의 영역으로 끌어온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한 주장 자체가 의도와는 달리 백신에 대한 불안을 오히려 증폭시키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여당 의원이 '실험 대상' 운운한 것도 경솔하기는 마찬가지이다. 지난해 말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김태년 원내대표가 백신 확보가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을 반박하기 위해 "백신 접종 후 알레르기 반응, 안면 마비 같은 부작용이 있는 경우도 보도되고 있다"고 발언한 것이나, 방역 당국자가 "먼저 접종하는 국가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한두 달 관찰할 기회를 가질 수 있어 굉장히 다행스럽다"는 주장을 한 것도 무책임하기 짝이 없다. 방역의 정치화, 백신의 정쟁화는 우리 국민 모두를 패자로 만드는 길이다. 정부와 정치권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백신 접종 계획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자신의 역할에 더욱 충실하고, 메시지 관리에도 더욱 신중한 자세를 보여주기를 당부한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